나노기술에 기반 한 고출력 테라헤르츠(THz) 발생소자가 개발됐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 THz포토닉스창의연구센터는 금속 나노구조를 양극과 음극으로 활용해 전극으로 만들어 효율 및 출력을 기존소자 대비 최대 50배 이상 높였다고 15일 밝혔다.
테라헤르츠(THz)파는 1초에 1조번이나 진동하는 전자기파로 파장이 길어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물질도 잘 투과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테라헤르츠파 대역은 미개척 주파수 대역으로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이다.
연구진은 본 기술은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기존 제품보다 효율 및 출력이 50배 이상 높아 플라스틱 내부구조나 암세포와 같은 생체조직을 볼 때 훨씬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기존 상용소자의 경우 출력신호가 낮아 대상물을 정확히 볼 수가 없었지만, ETRI 연구진이 나노기술 기반, 고출력 테라헤르츠 발생소자의 개발 덕택으로 향후에는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금속, 암세포, 유해 화학물질 및 흉기·폭탄 등 검출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하면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우주선 발사시 쓰이는 고정밀 타일의 기포여부나 페인트 도포두께, 플라스틱 제조시 결함여부, 제약분야 알약의 정밀 코팅두께 측정에도 유용할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보고 있다.
ETRI 박경현 THz포토닉스창의연구센터장은“나노구조에서 일어나는 물질적 현상에 성능을 향상시킨 점과 대면적 나노전극 광전도 안테나 기술을 이차원 구조로 확장함으로써 각각의 단위 소자의 특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새로운 응용의 가능성을 연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개발되었으며 THz포토닉스창의연구센터는 소재부터 시스템의 전 영역에 걸친 연구를 통해 SCI 논문 21편 및 국내·외 특허를 50여건을 출원했으며, 요소기술들에 대한 기술이전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