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민관이 올해 1,108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계획’을 2일 확정·공고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사업목표는 2,200개 이상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 공장 구축이며 이에 민관합동으로 총 1,108억원(정부 905억 원, 민간 203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그동안 보급한 개별구축형 방식 외에 △에너지신산업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개선과 에너지효율을 함께 달성하는 클린에너지 방식 △솔루션을 사용하고 월사용료를 지불하는 클라우드형 방식 등으로 보급방식이 다양화된다.
이에 산업부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가속화를 위해 올 상반기 중에 중기중앙회 등과 함께 수요기업 3,000개를 발굴하고 집중 지원한다. 또한 클린에너지 스마트공장 500개,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을 50개 이상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은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MES 등) 구축비용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의 구입을 지원받을 수 있다. 개별구축형은 구축비용의 50%(기업당 최대 5천만원 한도), 클라우드형은 구축비용의 60%(기업당 최대 5,500만원 한도)가 지원된다.
또한,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이 구축될 수 있도록 관련분야 15년 이상 경력 전문가(스마트공장 코디네이터)의 컨설팅이 제공된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스마트공장 추진단 홈페이지(http://smart-factory.kr)를 또는 전화(02-6050-2777, 2778)를 통해 사업내용을 확인하고 사업관리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산업부는 올해 5천개(누적) 스마트공장 확대를 위해 미래 핵심 유망산업인 솔루션, 컨트롤러, 센서 등 스마트공장 공급산업 육성방안도 함께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올해 스마트공장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해 통 991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컨트롤러 등 첨단장비 610억원 △센서 138억원 △솔루션 109억원 △기타 134억원 등에 집중 투자한다.
또한 기계거래소의 온라인 직거래장터 등과 연계해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발생하는 유휴설비의 재활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밖에 스마트공장 공급산업을 이끌어나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운영·설계 등 융합형 교육을 이수한 석·박사 인력을 향후 5년 동안 135명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2016년 뿌리산업 분야 대표 스마트공장으로 선정된바 있는 동양피스톤 반월·시화 공장에 2일 방문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경쟁국과의 기술격차 축소,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경쟁심화 등으로 국내 제조업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제조업 혁신 3.0정책’과 그 핵심사업인 스마트 공장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부는 2016년까지 2,800개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으며 이에 생산성 개선(23%), 불량률 감소(△46%), 원가 절감(△16%), 납기 단축(△34.6%) 등 경쟁력이 향상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