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업과 석유화학기업이 바이오기반 소재로 생분해 플라스틱을 개발하는 등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손을 잡았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일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화이트바이오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체에는 산업부 성윤모 장관, GS칼텍스 김형국 사장, 롯데케미칼 황진구 대표,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장, 문동준 한국석유화학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화이트바이오 산업이란 식물 등 재생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해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바이오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을 말한다. 최근 미국, EU 등 주요국의 연이은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시장이 급성장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업화를 위해서는 원료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기술과 바이오기반 원료의 제품화를 위한 화학공정기술간 융합이 필수적이다. 일례로 국내 A社는 발효산물의 분리·정제 관련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음에도, 화학공정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소재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협의체에는 GS칼텍스, CJ, 대상, 롯데케미칼, 애경유화, 삼양사, 한화솔루션, SK피아이씨글로벌, 한국바스프, 우성케미칼 등 바이오, 화학기업 10개사가 참여하고,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석유화학협회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협의체 운영을 지원한다.
협의체는 3분기 R&D 기술수요조사를 시작으로 분기별 1회 협력모델 발굴을 위한 분과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며, △생분해 플라스틱 및 △바이오매스 기반 화학제품 개발 △바이오 기반 차세대 소재 연구 △제도개선·인센티브 지원의 4가지 분야에서 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성윤모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플라스틱 수요 증가 및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 속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육성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반드시 가야할 길”이라며 “산업부 또한 화이트바이오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안 등을 꾸준히 강구하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