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권 분야에서 칠레,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와의 특허심사, 인적교류, 특허정보화 분야의 협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은 지난 22일 제48차 WIPO(세계지식재산권기구) 총회 참석을 위해 스위스 제네바를 방문한 이수원 특허청장과 막시밀리아노 산타 크루즈(Maximiliano Santa Cruz Scantlebury) 칠레 특허청장이 한국특허청을 국제특허조약(PCT)의 국제조사기관(ISA) 및 국제예비심사기관(IPEA)으로 지정하는 양해각서에 서명하였다고 밝혔다.
칠레특허청이 한국특허청을 국제특허조약의 국제조사기관으로 지정함에 따라 한국특허청을 국제특허조약 국제조사기관으로 지정한 국가는 12개국으로 늘어났다.
같은 날 오전에는 이수원 특허청장과 조지 데 파울라 코스타 아빌라(Jorge de Paula Costa Ávila) 브라질 특허청장이 참석한 가운데 한·브라질 특허청간 ‘지식재산권 분야 포괄적 협력에 관한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지식재산권 분야 전문가 및 특허청간 인적교류 △특허정보화 분야 △지식재산권 제도개선을 위한 협력에 합의했다.
이번 한-칠레 특허청간 국제특허조약 국제조사기관 지정에 합의함에 따라 오는 10월1일 부터는 칠레특허청에 국제특허(PCT)출원을 한 출원인이 한국 특허청에 국제특허(PCT) 국제조사와 예비심사를 의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국 특허청의 특허심사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이며, 이를 통해 칠레와의 협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수원 특허청장은 “남미의 거점국가인 칠레·브라질과 양해각서 체결로 우리나라 지식재산권 외교의 저변이 확대되고 국제사회에서의 위상도 한층 높아지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 중남미 국가와의 협력을 통하여 중남미에 진출하는 우리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원 특허청장은 WIPO총회 기간 동안 ‘선진5개 청장회의’에 참석했으며 미국, 일본, 중국, 유럽, 영국, 호주, 캐나다, 베트남 특허청장과 회담을 가졌다.
회담에서는 특허제도 효율화 및 심사기간 단축 등 세계 지식재산권 분야 주요 이슈와 양국 간 협력 강화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