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 차량 SW 표준연합 부회장사 됐다
LG전자가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의 SW 리더십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차량 내장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 SW플랫폼 표준단체 ‘제니비 연합(GENIVI Alliance)’의 부회장사 지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제니비 연합’은 최근 영국 버밍햄 국제종합전시장(ICC)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LG전자 VC스마트SW플랫폼담당 류경동 상무를 부회장으로 선출했다.
동시에 초대 회장사인 BMW 인포테인먼트설계담당 피터 쉔넨버그(Peter Schonenberg)가 회장으로 복귀했다. ‘제니비 연합’의 집행임원은 회장, 부회장, 회계담당, 총무 단 4명이다.
‘제니비 연합’은 오픈소스인 ‘리눅스(Linux)’ 기반 IVI용 SW플랫폼 표준인 ‘제니비 플랫폼’을 개발, IVI 생태계 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는 비영리 단체다. 2009년 출범해 완성차 및 자동차 부품 기업 150여 개가 회원사로 활동 중이다. ‘제니비 플랫폼’은 BMW, 르노-닛산, 볼보, PSA푸조시트로엥, 현대기아자동차 등 여러 자동차업체의 IVI 제품에 적용되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LG전자는 이번 부회장사 선출로 ‘제니비 연합’의 의사결정을 주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확보했다.
LG전자는 회장사인 BMW를 비롯한 회원사들과 함께 △Connectivity: 스마트폰, IoT 가전, 웹콘텐츠 등 다양한 연결성을 확대하고 △Code: 재활용 가능한 코드 중심으로 SW생산성을 더욱 높이며 △Collaboration: 전장 SW분야 표준단체 오토사(AUTOSAR), 웹 표준화 기구 W3C 등과의 협업을 추구하는 ‘3C’활동을 통해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시대 ‘제니비 연합’의 SW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 해 10개사로 구성된 이사회 멤버가 된 데 이어 단 1년만에 부회장사로 올라섰다.
이는 2011년부터 ‘제니비 연합’ 회원사로서 표준화된 차량용 웹 API를 개발, 제니비 표준으로 등재하는 등 그 동안의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또, ‘제니비 플랫폼’과 호환되는 자체 SW플랫폼을 개발, 여러 완성차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등 우수한 SW 기술력도 인정받았다.
LG전자 VC스마트SW플랫폼담당 류경동 상무는 “이번 ‘제니비 연합’ 부회장사 선출은 LG전자가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의 SW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니비 회원사를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과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편집국 기자
2017-05-22
-
1Q 실리콘웨이퍼 출하량 전년比 12.6%↑
편집국 기자
2017-05-19
-
마우저, 삼성 ‘아틱’ 전세계 유통
배종인 기자
2017-05-18
-
車부품 무역수지 3년 연속 감소
배종인 기자
2017-05-16
-
나노융합2020사업단, 유연 D/P 기술난제 해결 제시
나노융합2020사업단(단장 박종구)가 유연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 난제 해법을 제시한다.
나노융합2020사업단은 5월30일 한국과학기술회관 B1 소회의실에서 ‘은 나노선 기반 폴더블(foldable) 투명전극 필름소재 기술에 대한 기술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기술설명회는 엔앤비의 김상호 대표가 발표할 예정이다.
기술설명회 신청은 5월25일까지 사업단 홈페이지(www.nanotech2020.org)에서 온라인 등록을 해야하며, 사전 참가신청자에 한해 당일 기술설명회 참석이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사무국(02-6000-7495)으로 문의하면 된다.
배종인 기자
2017-05-15
-
SEMI, ‘2017 FLEX Korea’ 개최
국내 유일의 FHE 컨퍼런스가 서울에서 개최된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 SEMI는 5월31일부터 6월1일 양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17 FLEX Korea’를 개최한다.
SEMI는 2014년부터 국제인쇄전자컨퍼런스(IPEC)를 개최하여 산학계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로 인쇄전자 관련 컨퍼런스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굳혀왔다. 그동안 디스플레이와 인쇄전자에 초점을 두었던 컨퍼런스를 올해 FHE(Flexible Hybrid Electronics)산업까지 확장하여 FLEX Korea로 새롭게 선보인다.
FHE는 기존의 IC 제조산업과 프린팅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첨단 플렉서블 어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는 분야이다.
올해는 ‘FHE 산업 발전을 위한 실용적 접근(A Practical Path to FHE)’을 주제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플렉서블, 웨어러블, 센서, OLED, 퀀텀닷, 마이크로 LED, 헤드업 디스플레이, 롤투롤, 3D 프린팅 등 Flexible/Printed/Hybrid Electronics 어플리케이션을 총망라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2일간 17명의 연사들이 발표를 하며, 대부분의 연사는 글로벌 기업에서 초청된 전문가들로, 전세계에서 빠르게 상업화하고 있는 플렉서블 응용전자에 대한 실질적 공유의 장이 될 뿐 아니라, 국내 업체들에게는 관련 산업에 대해 심도 깊게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조연설자는 △LG디스플레이 양준영 담당 △삼성종합기술원 전신애 리서치마스터 △FlexTech 멜리사 그루핀셰먼스키 CTO이며,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퀀텀닷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응용전자(FHE)에 대한 발표를 한다.
한국SEMI 조현대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는 기조연설을 비롯한 다양한 주제의 발표를 통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첨단 디스플레이 분야의 기술과 플렉서블 응용 전자에 대한 최근 동향을 한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컨퍼런스 시작에 앞서, SEMI는 인쇄전자에 대한 기초교육 과정인 쇼트코스(Short Course)를 개최한다.
인쇄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본 프로그램에서 인쇄전자의 기본 개념, 최신 공정별 기술과 동향을 들을 수 있으며, 한국기계연구원의 조정대박사가 연사로 참여한다.
본 컨퍼런스는 한국SEMI가 주최하며, 노바센트릭스, 코오롱 인더스트리, 호리바, 후지필름 디마틱스가 후원한다.
사전등록은 5월26일까지이며, 사전등록시 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다. 사전등록은 FLEX Korea 웹사이트(http://www.semi.org/ko/flex-korea-register-ko)에서 가능하며, 참가 관련된 사항은 한국SEMI(02-531-7831 / sjung@semi.org)로 문의할 수 있다.
배종인 기자
2017-05-15
-
케이피에프, 1Q 매출 914억…전년比 10.8%↑
케이피에프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상승한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파스너 및 자동차용 부품 전문 케이피에프(대표이사 도성득)는 매출액 914억8,000만원, 영억이익 39억7,000만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각각 전년동기대비 10.8%, 0.3% 증가한 수치다.
베트남법인(KPF Vina)과 중국법인(KPF Jinan) 등 해외 사업이 정상화 궤도에 들어서면서 이번 실적 상승에 주효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케이피에프 김교동 부장은 “지난 2012년 해외 법인 설립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이래 현지 사업 안정화에 노력해왔으며, 그 노력의 성과가 작년부터 가시화되고 있다”며 “2016년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올 1분기에는 처음으로 당기순이익까지 흑자전환을 이루는 성과를 올렸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본사도 新시장 개척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있어 올해에는 더욱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케이피에프는 직전 분기(2016년도 4분기) 대비해서는 매출액은 4% 소폭 올랐으나, 영업이익이 65.4%의 큰 상승폭을 보였다.
편집국 기자
2017-05-11
-
LS전선, 전차용 이동식 전선 시스템 개발
LS전선이 철도 물류의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이동식 전선 시스템을 개발했다.
LS전선이 11일 세계 최초로 ‘전기 화물열차용 이동식 전차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동식 전차선은 일반 철도차량기지에 적용된 적은 있었으나 화물용으로는 세계 첫 사례이다. LS전선은 최근 코레일과 함께 충북 옥천역에서 시험운영까지 성공리에 마쳤다.
전차선은 주로 선로 위쪽에 설치돼 전동열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다. 기존 고정식 전차선은 화물(컨테이너) 하역에 방해가 된다. LS전선은 이를 개선해 전차선을 선로 바깥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철도 차량의 화물을 자유롭게 싣고 내릴 수 있게 했다.
이동식 전차선은 화물 운송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 철도 물류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전동열차가 디젤보다 유지비가 적게 들고 견인력이 3배 이상 높아 물동량을 대폭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전차선 때문에 화물 운송에 전동열차 이용이 활발하지 못했다.
김동욱 LS전선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전차선의 알루미늄 합금 소재가 실외에서 온도 변화와 비, 바람 등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개발했다“며 “전기 철도의 도입이 활발한 유럽과 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개발은 LS전선이 2015년 4월부터 2년간 국토교통부의 ‘화물 취급선용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국산화’ 과제를 수행한 것으로서, LS전선은 중소기업과 동반성장을 위해 협력사인 ㈜재영테크에 기술을 이전, 공동 개발을 수행했다.
편집국 기자
2017-05-11
-
국토부, 국산센서 장착 만도 자율주행車 운행 허가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국산 감지기(센서)를 장착한 자율주행자동차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에서 신청한 시험·연구 목적의 자율주행자동차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11일 밝혔다.
현재 국토부는 지난 2016년 11월부터 전국 모든 도로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을 허용하고 있으며 임시운행 허가를 받아 시험운행중인 자율주행차는 18대에 달한다.
그러다 대부분의 자율주행자동차의 감지기(센서)는 외산 제품인 반면, ‘만도’의 자율주행자동차는 자체 개발한 레이더(RADAR)와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
만도는 실제 도로 주행을 통해 감지기(센서) 기능을 검증하고 환경 인식 정확도 등을 향상시킬 계획으로, 감지기(센서)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자동차에 최적화된 제동·조향·현가장치 등에 대한 기술도 함께 개발해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을 적극 공략할 예정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통제된 상황에서 안전하게 반복실험이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를 경기도 화성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내에 ‘케이-시티(K-City)’로 약 11만편의 규모로
구축 중이다. 이 곳에 고속도로 등 정해진 구역내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유사시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자율주행 레벨 3’ 수준 테스트에 필요한 고속주행로를 오는 10월 우선 개방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채규 자동차관리관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센서는 안전과 직결된 핵심 요소이므로 실제 상황에서의 철저한 성능 검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케이-시티(K-City)’ 등 테스트를 위한 인프라를 완벽하게 준비하여 우리 기술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고 말했다.
편집국 기자
2017-05-11
-
LG이노텍, 1Q 매출 1조6,447억…전년比 38%↑
편집국 기자
2017-05-07
-
온세미컨덕터, 車 누수 잡는 무선센서 기술 선
온세미컨덕터가 무선 배터리 센서를 통해 차량 내 누수를 잡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온세미컨덕터는 RFMicron과의 협력을 통해 완벽한 인-라인 차량 생산 누설 감지 솔루션인 RFM5126 수분 침투 감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차량 출고 전에 누수와 조립 오류를 감지하는 것은 출고 품질향상 및 고객 보증문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 아주 중요하다.
통계에 따르면 공장에서 출고되는 자동차의 최대 3% 정도의 누수 차량은 곰팡이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비싼 보증 수리 비용을 초래한다. RFM5126 수분 침투 감지 시스템은 기존의 누수 방지 기술에 비해 적은 비용과 노동력으로 이러한 누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RFMicron의 Magnus IC를 통합한 수분 감지 센서를 사용하며 배터리에 자유로운 무선 센서를 지원한다.
눈에 잘 띄지 않으면서도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센서는 내부 트림 및 시트를 설치하기 전에 베어 메탈 단계에서 차량 내에 설치된다. 이후 조립이 완료된 차량이 고압 스프레이 테스트를 거치는 동안 이 시스템은 작고 찾기 힘든 누수까지 찾아낸다.
기존의 차량 조립 라인에 쉽게 설치되는 드라이브-스루 통합 스테이션은 센서와 통신을 쉽게 한다. 이 통합 스테이션은 정확한 누수 위치를 보고하며 재작업의 속도를 높여주는 종합적인 센서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합한다.
시간이 경과되면 이 시스템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누수로 이어지는 문제를 첫 단계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돕고 프로세스 개선 노력을 지원한다.
온세미컨덕터 보호 및 신호 분야 담당 부사장 게리 스트레커(Gary Straker)는 이 새로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아주 작은 누수까지도 조립 라인에서 감지해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출고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며 전체 조립 공정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편집국 기자
2017-05-05
-
센싱·시각화 일체화 OLEB 개발
편집국 기자
2017-05-04
-
파나소닉, 中 다롄 車 LIB 공장 준공
신근순 기자
2017-05-02
-
SEMI, 3월 북미반도체장비 출하액 20억3천만불…전월比 2.6% ↑
배종인 기자
2017-04-25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 속도 그래픽 D램 개발
편집국 기자
2017-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