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연, 플라즈마 활용 금속촉매 수명 연장
배종인 기자
2016-03-14
-
액세스에너지-대성하이텍, 폐열 발전 시장 진출
강지혜 기자
2016-03-14
-
혁신적 산업용 3D프린터 개발, 해답은 ‘소통·협력’
신근순 기자
2016-03-11
-
한국금형센터, 오는 7월 부천 개소
신근순 기자
2016-03-11
-
자본재공제조합, 중고기계 대출·하자보증 서비스 시행
자본재공제조합(이사장 정지택)이 중고기계 거래 활성화를 위해 대출 및 하자보증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자본재공제조합은 한국기계거래소의 경매에서 낙찰된 수출용 중고기계 구입(경락)자금에 대한‘대출보증’과 중고기계 수요자가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하자보증’서비스를 1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대출보증은 중고기계 유통업체가 한국기계거래소가 실시하고 있는 경매에서 수출을 목적으로 낙찰받은 중고기계의 구입자금이 필요한 경우, 자본재공제조합의 대출보증서를 기업은행에 제출하면 대출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보증상품이다. 자본재공제조합 조합원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형태로 추진되며 사업초기 1년간은 업체당 최대 10억원 내에서 보증한다.
하자보증은 실수요자가 중고기계를 구입한 후 판매자가 보증기간에 발생한 하자에 대한 보수의무 미이행 시 관련 채무를 보증함으로써, 수요자가 중고기계를 믿고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이다. 하자보증은 업체별 한도를 제한하지 않고 최장 6개월간 보증한다.
특히, 금번 신규 대출보증상품 출시로 기업은행은 한국기계거래소 경매시스템에서 낙찰된 중고기계의 구입(경락)자금을 안정적으로 대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동산담보대출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봉전 자본재공제조합 상무이사는 “동산담보대출 및 유휴설비 거래 활성화를 위해 출시된 대출 및 하자보증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국내 유통용 경락자금 등 대출보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유휴설비의 수출과 거래활성화를 통해 기계산업 서비스부문 육성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근순 기자
2016-03-11
-
3D프린팅산업 활성화 민관 규제개혁 나선다
3D프린팅산업 기반 및 수요확대를 위해 민관이 함께 산업 현장의 애로사항과 불합리한 규제를 점검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과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이 주관하고 3D프린팅산업협회가 후원하는 ‘제19회 산업융합촉진 워크숍’이 오는 15일 오후 3시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개최된다.
3D프린팅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 과제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는 강영철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 실장, 이주연 산업융합촉진 옴부즈만을 비롯해 선두훈 ㈜인스텍 대표, 최성환 ㈜센트롤 사장, 원종범 ㈜스멕 대표, 이용우 ㈜TPC메카트로닉스 등 3D프린터 생산기업 임직원 20여명이 참여해 업계 현장의 목소리를 모으고 개선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3D프린팅시장은 외형적으로는 성장하고 있지만 시장이 개화되지 못하고 기술장벽, 수요처 발굴 어려움 등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부 지원도 한정적인데다 그나마 지원도 분산돼 산업 생태계 구축이 지지부진하면서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이번 워크숍에서는 김동수 ㈜탑앤씨 대표가 ‘3D프린팅 R&D분야 산업 저해요인’을, 주승환 센트롤 부회장이 ‘3D프린팅 수요창출을 위한 제도 개선방향’ 등을 발표하고 3D프린팅 기술개발 및 사업화 관련 불합리 규제와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이 마련된다. 모아진 산업현장의 애로·건의사항은 제도개선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신근순 기자
2016-03-10
-
차나파 르엇룽루엉(Ms. Chanapa Lertrungruang) 태국 리드 트라덱스(Reed Tradex) 프로젝트 매니저
배종인 기자
2016-03-10
-
ME 2016, 韓 기계산업 태국진출 돕는다
배종인 기자
2016-03-10
-
ETRI, 드론 운용체계 공청회 개최
강지혜 기자
2016-03-10
-
제조업 혁신 3D프린팅 최신 기술·사례 ‘한눈’
제조업에 3D프린팅이 접목되면서 공정수 감소, 고부가 제품·서비스 창출 등 혁신을 불어넣고 있는 가운데 관련 최신 기술과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3D프린팅산업협회와 ㈜첨단은 3월11일 오전 10시부터 코엑스 컨퍼런스룸 300호에서 미래 제조업의 열쇠 3D프린팅 이라는 주제로 ‘3D프린팅 컨퍼런스 2016’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기계연구원 이창우 단장의 ‘미래 제조업과 3D 프린팅’이라는 키노트 발표를 시작으로 개최되는 이번 컨퍼런스에는 산학연 전문가들이 나서 3D프린팅 글로벌 트렌드 및 분야별 동향, 신기술 및 각 산업별 적용사례 등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전 키노트 세션에서는 △스트라시스코리아 이경준 과장 ‘3D프린팅이 가져올 제조업의 미래’ △신진국 전자부품연구원 3D프린팅 사업단 단장 ‘3D프린팅 기술 동향’ △이낙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사업단 단장 ‘3D프린팅제조혁신지원센터의 역할과 비전’ 등이 발표된다.
오후 3D프린팅 주요 동향 세션에서는 △주승환 센트롤 부회장 ‘CES 2016속의 3D 프린팅’ △최문수 3D코리아 대표 ‘3D프린팅 소재 개발 동향’ △조재형 윈포시스 연구소장 ‘PBF(Powder Bed Fusion)금속프린터 기술과 업계 동향’ △윤희숙 재료연구소 박사 ‘세라믹 3D프린팅 기술’ 등이 다뤄진다.
마지막으로 3D프린팅 신기술 및 산업별 적용사례 세션에서는 △김현남 한국GM 차장 ‘자동차 부품의 3D프린팅 적용사례’ △양시영 삼성전기 수석 ‘전기전자분야의 3D프린팅 적용사례’ △ 이승재 한국기술대학교 교수 ‘건설분야의 3D프린팅 적용사례’ △원영규 하이비젼시스템 이사 ‘3D프린팅을 활용한 제조업에서의 스마트 라인 구축 기술 개발 동향 및 적용사례’ 등이 발표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컨퍼런스 홈페이지(http://goo.gl/s13uCD)를 참조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6-03-10
-
2월 車 수출액 30억불…전년比 9.3%↓
배종인 기자
2016-03-09
-
기산진, 우수자본재 개발유공 포상 접수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정지택)는 ‘2016년도 우수자본재 개발유공’ 포상 신청을 오는 4월8일까지 접수한다고 밝혔다.
우수자본재 개발유공 포상은 자본재산업(제조업) 분야에서 성실하고 창의적으로 일하면서 기술개발 또는 수요창출을 위한 기술개발지원을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와 기계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있는 유공자 및 유공기업을 발굴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지난 1984년부터 시행돼 왔으며 2015년도에는 자본재분야의 유공자 및 유공기업을 발굴해 산업훈장, 산업포장 등 정부포상 20점, 산업부장관표창 25점을 시상한 바 있다.
포상신청은 직접 신청 또는 타인의 추천을 받는 추천제도를 통해 기계산업진흥회 창의혁신지원팀(전화 02-369-7819, 이메일 posang@koami.or.kr)으로 신청서 또는 추천서를 제출하면 된다. 신청서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기계산업진흥회 홈페이지(www.koami.or.kr)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포상 시상식은 오는 9월6일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16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 개막식과 함께 거행될 예정이다.
기계산업진흥회 관계자는 “국가 기반산업인 자본재산업 분야에서 성실히 일하고 제품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 또는 개발지원에 노력한 근로자, 임원, 기업은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기여도를 감안하여, 현장에서 묵묵히 일하는 숨은 유공자를 폭넓게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6-03-09
-
미래 자동차 기술 ‘한눈에’
배종인 기자
2016-03-08
-
[신제품] 쌍용자동차
엄태준 기자
2016-03-08
-
현대엘리, 신임 사장에 장병우 고문
편집국 기자
2016-03-07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