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TP,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논의
유혜리 기자
2021-07-14
-
대전TP, 나노융합 中企 판로개척 지원 나서
유혜리 기자
2021-07-13
-
텔스타, K-스마트등대공장 구축
유혜리 기자
2021-07-08
-
경북TP, 정밀화학 소재기업 1억 지원
유혜리 기자
2021-07-08
-
부산TP, 제8대 김형균 원장 취임
유혜리 기자
2021-07-05
-
[창간 12주년]이은웅 경남테크노파크 기계소재부품센터장
신근순 기자
2021-07-05
-
경북TP, 풍력에너지 인재양성 킥오프 개최
유혜리 기자
2021-06-28
-
전남TP, 지식재산기반 예비창업 활성화
유혜리 기자
2021-06-24
-
전북TP, 中企 ESG 경영실천 도움
유혜리 기자
2021-06-24
-
강원TP 민간주도 지역기업육성사업, 수혜기업 ‘매출 8.5%↑’
신근순 기자
2021-06-24
-
경북TP, 스마트공장 확산 2년 S등급
경북테크노파크가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아 K-스마트 대공장 등 다양한 사업지원에 나선다. 경북테크노파크(원장 하인성)는 지난달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성과평가에서 S등급을 획득해 2년 연속 S등급 석권하는 쾌거를 이뤄냈다고 14일 밝혔다.경북TP는 2020년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을 운영하며 238개사(220개사 목표)를 지원해 목표대비 108%를 초과달성했다. 특히 고도화 비중이 35.3%로 지속적인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2019년도에는 254개사(198개사 목표)를 지원해 127% 초과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사전진단 및 사전컨설팅 지원부터 제조데이터 수집·분석·활용 인프라 구축, 사후관리 및 고도화 연계지원까지 사업성과 선순환체계를 마련했다. 이번 성과평가엔 이러한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의 성과가 반영됐다.지역 제조업의 경쟁력 키우기 위한 지원에 발맞춰 경북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 공장을 도입한 ㈜경도공업, 담따프레시 등 8개 기업은 2021년 스타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또한 경북TP의 지속적인 고도화 사업추진을 통해 아주스틸㈜, ㈜한중엔시에스, ㈜화신정공, ㈜화신은 시범공장 수준의 중간2를 달성했다. 아주스틸㈜은 지능형 ERP구축으로 데이터 신뢰성 개선 및 불량검출 시간 절감으로 생산성이 높아졌으며, ㈜한중엔시에스는 수주에서 출하까지 한눈에 관리 가능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결품방지 및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품질향상을 이뤘다. ㈜화신정공은 로봇자동화 라인을 강화해 설비의 작동상태, 생산수량, 생산시간, 누적가동 시간 등을 관리해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했다. ㈜화신은 PLM 플랫폼 기반 차종개발이 가능해졌으며, 해외 OEM 차종 개발 대응력 강화로 OEM차종이 증대되어 불량률 감소, 작업공수 감소, 개발일정 단축의 효과를 냈다. 올해부터 경북TP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214.6억 △일반형 디지털클러스터 40억 △업종별특화 스마트공장 4.2억 △K-스마트등대공장 3년간 24.4억이 투입한다. 이에 경북도 33억, 도내 10개 기초시군 30억 사업비도 지원될 예정이다. 다양한 사업지원을 통해 지역 제조기업의 디지털화 제조혁신 기회를 확대했다. 하인성 원장은 “경북테크노파크는 스마트공장 도입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제공함은 물론 컨설팅·상담 창구 운영 등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니 도움이 필요할 땐 이를 적극 활용해달라”고 밝혔다.한편,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2021년 스마트공장 참여희망 기업은 경북스마트제조혁신센터(053-819-3055~3057, 3045~3046)로 문의하면 된다.
유혜리 기자
2021-06-15
-
경기TP, 경기스마트연합기관 간담회 개최
경기테크노파크가 스마트보급·확산을 통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관과 협력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경기테크노파크의 경기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6월17일 경기테크노파크 대회의실에서 제1차 경기스마트연합기관(GSA)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전국 제조기업 중 30% 차지해 우리나라 경제의 원동력이 되는 경기지역의 각 기관별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 등 지역 내 협약기관의 공동목표 달성을 위해 이번 간담회를 추진한다.간담회에는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고용노동부 안산지청,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등 11개의 기관이 참여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지원시책 공유, 경기스마트연합기관 연계형 스마트공장 통합지원 수요발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지난해 경기스마트제조혁신센터는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으로 경기 남부지역에 총 770개사를 지원했으며, 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구축하고자 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목표 달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유혜리 기자
2021-06-11
-
전북TP, 미래전지 개발 123억 투입
전북테크노파크가 고성능 전지 개발사업을 통해 미래전지산업의 중심지로 도약에 나선다.전북테크노파크(양균의 원장)는 ‘스마트 수송 인프라 기반 고성능 전지 소재부품 기술사업화 플랫폼 구축사업’이 R&D 혁신밸리 육성사업 공모에서 최종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전기·수소차 개발에 이어 미래전지 개발사업까지 추진하게 돼 전북형 그린뉴딜과 탄소중립의 산업생태계 퍼즐을 완성하는 효과를 거두게 됐다.이 사업을 통해 전국 최초로 드론에 탑재될 초경량 리튬이온 커패시터를 개발하고, 250w급 탄소섬유기반 연료전지 발전 모듈 등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2023년까지 총 123억원이 투입되며 신규고용 112명과 수혜기업의 7%이상 매출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금번 사업은 전북TP가 주관기관으로 △뉴파워프라즈마 △비나텍 △디쏠 △VCA KOREA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캠틱종합기술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자동차융합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총 11개 기술혁신기관과 기업들이 협력한다.이번 공모 과제는 지방단위에서 추진하는 단일 연구과제가 100억원이 넘는 상당히 이례적인 대형 프로젝트 사업에 전북이 선정되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양균의 원장은 “본 사업을 통해 전북TP가 중심이 되어 지역 특화기술사업화 표준모델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기업의 니즈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여 전라북도가 미래전지산업의 메카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유혜리 기자
2021-06-11
-
경북TP, 경량신소재 사업 200억 투입
유혜리 기자
2021-06-11
-
부산TP,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454억 투입
유혜리 기자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