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대표적인 동반성장 프로그램인 성과공유제가 정부 정책에 반영돼 추진될 전망이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지난 9일 포스코를 방문해 ‘포스코형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에 대한 현황을 듣고 “포스코의 사례는 여타 대기업들에게 귀감이 된다”며 “올 한해 성과공유제가 산업계 전반에 착근되도록 노력하고 스스로 전도사가 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달 과천 정부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포스코의 성과공유제를 대표적 동반성장 모델로 소개하고 성과공유 확인제 시행 등 성과 공유제 확산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성과공유제는 포스코가 2004년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처음 도입한 제도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혁신과제를 발굴해 여기에서 발생한 성과를 현금 보상, 단가 보상, 장기 공급권 등으로 보상해 주는 제도다.
포스코는 지난해 까지 801개 기업과 함께 1,794건의 성과공유 과제를 수행해 총 826억 원을 중소기업에 성과보상금으로 제공했다.
포스코의 성과공유제를 반영키로 한 정부는 앞으로 성과공유 확인제를 통해 성과 공유의 실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우수기업에는 동반성장 지수 평가, 정부조달 입찰, 국가 연구개발(R&D) 과제 선정, 판로 지원, 정부 포상 등에서 혜택을 부여하는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홍석우장관은 인천시 부평구에 위치한 포스코 우수 협력사인 ㈜대원인물을 직접 방문해 성과 공유 현황을 점검했다.
㈜대원인물은 포스코에 철강 절단용 칼(Laser Welder Knife)을 공급하는 중소기업으로 포스코와의 성과공유제를 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던 철강 절단용 칼을 국산화하고 원가를 절반 가까이 낮추면서 성능은 2배 가량 향상시켰다. 포스코 역시 품질개선 및 수입대체를 통해 약 5억원의 원가절감 효과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