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3-07-17 15:45:34
기사수정

▲ 재료연구소에서 개발한 고전도성 알루미늄 전도성 종이 및 실 제조기술을 적용한 실험 모습.

전기가 흐르는 종이와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첨단 섬유전자산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재료연구소 이혜문 박사와 한국과학기술원 고승환 교수는 ‘고전도성 알루미늄 종이 및 섬유소재 제조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종이나 실 및 천과 같은 섬유소재에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섬유소재를 개발했다. 이를 가위나 칼로 오리고, 풀칠하고, 꿰매는 등 손쉬운 과정으로 옷이나 신발, 커튼 또는 벽지 등 종이나 섬유(천)에 원하는 모양의 전기 및 통신 회로, 전자파 차폐막, RFID 안테나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휴대폰이 내장된 옷이나 체온 및 심장 박동 수 등을 감지해 현재 몸 상태를 알려주는 운동복, 실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다양한 색과 모양으로 빛을 내는 벽지 및 커튼 등을 만들 수 있다.

종이나 천과 같은 섬유소재는 액체상태의 물질을 흡수하는 특성이 매우 좋아 알루미늄 전구체(AlH₃)를 기반으로 한 금속잉크용액에 담가 놓기만 해도 면 저항이 10mΩ/sq 이하인 고전도성 알루미늄 섬유전극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리 전극이나 배선 수준이다.

연구진은 종이나 실과 같은 섬유소재를 알루미늄 전구체 물질 분해를 촉진시키는 촉매에 넣은 이후 10분에서 8시간 정도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에 담가 5~250 mΩ/sq의 전기저항을 지닌 전도성 섬유소재를 제조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종이와 천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의 섬유까지 잉크가 침투해 표면에 높은 전기전도성을 지니는 고밀도 알루미늄 나노 구조체(나노막 또는 입자)를 형성하여 전기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힘, 휘어짐, 온도 및 습도와 같은 물리·화학적 자극에도 뛰어난 내구성을 보인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의 전자소재 기술은 휘어짐 및 접힘 특성이 좋지 않아 외력에 의해 쉽게 부서져 유연(flexible)하거나 입는(wearable) 전자소자 기술을 실현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 니켈 및 은 전도성 섬유와 비교했을 때 100배 이상 높은 전기전도성을 보이고 뛰어난 내구성, 간단한 공정과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해 첨단 섬유전자산업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책임자인 이혜문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섬유 디스플레이 소재, 섬유 OLED 조명 소재와 방한의류용 발열히터 섬유소재, 신체 움직임 감지 섬유 센서 소재 등 인간 중심의 스마트한 사회를 촉진시키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재료연구소의 자체연구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이뤄졌으며 화학분야 저명 학술지인 앙케반데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7월호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선정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153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