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로봇 연구 사업의 방향과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국립재활원(원장 이성재)이 4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재활로봇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개최되는 심포지엄의 주요 내용은 △2013년부터 진행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성과 소개 △재활로봇 관련 연구자의 연구 현황 발표 △시제품 전시 △재활로봇 활용을 위한 의료수가화 및 공적급여 방안에 대한 논의 등으로 구성됐다.
강연자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 참여연구원 및 재활로봇 관련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강연내용으로는 재활로봇의 의미, 개발역사, 개발현황, 임상으로의 활용방안 등으로 이뤄져 있다.
우선 김종배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 단장은 2013년부터 시작된 국립재활원의 재활로봇중개연구성과가 담긴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 소개 및 현황’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어 박형순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미국 재활 공학 분야의 역사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국내 적용 방안 모색을 위한 ‘미국 재활 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안진응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수평, 경사 및 수직 운동 등 다양한 재활동작 훈련이 가능한 상체 재활 로봇 개발 소개 및 재활효과 평가 등을 소개한 ‘일원다기능(OSMU) 상지재활로봇과 평가 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
김정훈 연세대학교 김정훈 교수는 하지 마비 환자의 보행 보조를 위한 하드웨어 및 센서 시스템의 개발 사례가 담긴 ‘휴머노이드 로못(Humanoid Robot)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해서 발표한다.
김경환 NT리서치 대표는 어깨, 팔, 다리에 부착해 근육 활동을 보조해주는 로봇의 개발사와 상용화를 위한 노력을 소개하는 ‘웨어러블 근력증강 로봇 RoboWear의 상용화’를 설명할 계획이다.
단병주 LG전자 수석연구원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과 연계해 개발된 보행보조로봇(Smart Walker), 상지근력 보조시스템 등의 성과가 담긴 ‘심노약자/장애인을 위한 근력보조시스템’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전민호 보험위원장이 ‘로봇의 재활치료 적용을 위한 수가화’, 남세현 한신대학교 교수가 ‘일상생활보조로봇 확산을 위한 공적급여’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성재 국립재활원 원장은 “이번 재활로봇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에서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미래의 재활로봇 활성화 방안을 산학연과 같이 고민하는 발전적인 자리가 돼 부처간 협력의 성공사례로 자리매김하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재활원은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단장 김종배)을 2013년 조직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개발된 로봇의 원천기술을 장애인과 노인의 재활치료 및 일상생활 지원에 사용하기 위한 임상적 중개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