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제조업 혁신의 중요성이 커지고 각 분야에서 IT와 스마트化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 중소기업의 스마트 공장에 대한 인식도는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최근 뿌리산업 中企 300개社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스마트 공장에 대해 들어본 적 없다’(72.7%)고 응답했다.
뿌리산업 업종별로는 △열처리 △소성가공에서, 기업간 협력단계별로는 1,2차 벤더 보다 3,4차 벤더기업으로 갈수록 스마트공장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편이었다.
스마트공장에 대해 들어 봤다는 기업의 70.7%는 ‘정부사업의 공고’를 통해 접했다고 조사됐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 자사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응답은 47.3%로 그렇지 않을 것이다(26.7%), 보통이다(26.0%)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업간 협력단계가 낮은 1,2차 벤더기업 일수록, 주거래처 납품비율이 높을수록,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업종별로는 스마트공장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열처리 △소성가공 업종에서 스마트공장 도입효과에 대한 기대수준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공장 확산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단으로는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85.3%)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협동조합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뿌리산업 중소기업 대부분이 공감(78.0%)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극심한 인력난과 영세한 소공인 형태로 낙후한 작업환경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산업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고,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뿌리산업의 스마트공장 지원을 위한 6대 업종별, 규모별 정책타켓을 구체화하고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실시하는데 있어 협동조합의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방안 연구결과를 오는 11월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