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산업에 있어 의료, 바이오 및 금속분야가 고부가 유망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들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3D프린팅 기술과 비즈니스 기회를 살피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www.kiei.com)는 2월18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고부가 창출을 위한-의료, 바이오 및 금속(메탈) 3D프린팅 신비즈니스 모델과 적용사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2016년 정부의 3D프린팅 산업 육성정책 및 3D프린팅 활성화 법안 주요내용과 의료, 바이오 및 금속을 중심으로 한 제반 산업실태를 비롯해 치과분야, 정형외과분야, 재활의학분야와 금속 적용분야 및 금속분말의 기술개발동향에 이르기까지 의료, 바이오 및 금속 3D프린팅의 제반정보를 심도있게 논의하게 된다.
이에 △2016년 정부의 3D프린팅 산업 육성정책과 지원방안 및 3D프린팅 활성화 법안 주요내용 소개 △2016년 의료, 바이오/금속 3D프린팅 최근실태와 품목별 시장규모 및 국내,외 참여 기업체 현황 △2016년 의료, 바이오/금속 3D프린팅 요소기술별 특허분석 및 분쟁현황과 지재권 획득전략 △의료, 바이오 3D프린팅 신기술 개발현황과 응용제품 및 상용화 △재활의학과 분야 3D프린팅 최근실태 및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치과분야 3D프린팅 최근실태 및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금속 3D프린팅 신기술 개발동향과 응용제품 및 상용화 △금속 분말소재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정형외과분야 3D프린팅 최근실태 및 기술개발동향과 적용사례 등이 각각 주제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의료, 바이오 3D프린팅은 의료기기 부품에서 인체모형, 피부조직 및 장기재생까지 활용범위가 상당히 넓고 관련 기술개발이 초기단계라 주도권 확보도 가능하며 금속 3D프린팅은 선박, 항공기 등의 엔진 부품까지 제작할 수 있어 관련 시장전망이 매우 높다”면서 “이를 중심으로 3D프린팅 기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기반조성 강화를 모색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kiei.com)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