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삼성·LG전자, SKT·KT, 네이버, 현대자동차등 6개 민간기업과 손잡고 한국형 인공지능개발에 나선다. 민간기업이 출자해 기업형 연구소를 설립하면 정부가 핵심R&D 추진으로 연구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7일 인공지능의 산업적 활용과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인공지능 및 SW관련 기업인과 유일호 경제부총리, 이준식 사회부 총리가 참석한 간담회를 실시하고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최양희 미래부장관은 이날 주제보고에서 민간주도 기업형 ‘지능정보연구소’를 설립해 정부는 연구비를 지원하는 뒷받침 역할을 하며, 지능정보기술 플래그쉽 프로젝트, 전문인력 확충, 데이터 인프라 구축,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위해 향후 5년간 총 1조원 투자해 향후 투자를 향후 5년간 2조5,000억원 이상 유도할 것이라 밝혔다.
우선은 민관이 함께 국가 연구역량과 데이터를 하나로 결집하기 위한 기업형연구소 ‘지능정보기술연구소설립’을 설립한 다는 계획이다.
민간주도의 기업형 지능정보기술연구소 설립으로 정부는 연구비를 지원해 연구소가 연구몰입과 조기 성과를 내게 뒷받침한다.
또한 지능정보기술 선점을 위해서 기반 조성을 위한 뇌과학, 산업수학, 슈퍼컴등 기초연구를 지속하고 언어·시각·공간·감성지능·스토리 이해 등 연구의 플래그쉽 프로젝트 지원으로 세계 지능정보 기술 선점을 위해 나선다.
전문인력 확충에도 나선다. SW중심개학, ICT연구센터, SW스타랩 사업등을 활용, 해외전문가 리크루팅 사업으로 해외 우수인력도 확보한다.
또한 국내 민간⋅정부 보유 데이터 정보를 알려주는 ‘데이터 소재정보 서비스‘, 언어⋅시각 등 연구용 DB, 전문가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문지식 DB 구축해 데이트 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K-ICT전략을 지능정보기술을 추가해 총 10대 전략사업으로 확대 개편하며, 향후 지능정보기술이 산업 전반에 확산되어 신산업 창출이 도기 위한 ‘지능정보사회 추진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해 오는 6월 보고한다는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 공지능 기술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 보다는 사람 중심의 실용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음을 당부하고, 우리가 보유한 ICT 분야의 강점과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