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활용 네트워크를 통한 IP확보 및 사업기회 발굴의 장이 마련됐다.
한국지식재산전략원과 특허그룹 인사이트플러스는 오는 11월24일 코엑스 D홀 ‘2016 국제 신소재 및 응용기술전’ 전시장에서 ‘2016년 공공연구기관 IP 보물찾기 기술상담회’를 진행한다.
상담내용은 소액 및 유망기술 이전 상담, 기관별 자체 기업지원 프로그램 상담,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공동연구 및 사업화 지원 상담을 진행한다.
출품 기술은 △강원대학교에서 리튬 이차전지 음극, 전해질 기술 포함 5건의 소액측허 기술 상담 △고려대학교 무선전력 공급 제어 기술 포함 78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국방과학연구소 과일세정 농약제거제 기술 포함 31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국립목포대학교 기능성 소금, 식품, IT 기술포함 87건 기술상담 △아주대학교 에너지, 생명과학, 분자과학 분야 소재기술 고액특허 11건 △인하대학교 에너지, 생명과학, 분자과학 분야 소재기술 고액특허 11건 △재료연구소 재료/소재 분야 11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전자부품연구원 전자부품 분야 기술 109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재료/소재 분야 소액특허 135건 기술상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일열화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포함 83건 기술상담 △원자력연구원 레이저, 방사선 관련 157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건국대학교 공기살균 장치 포함 22건 소액특허 기술상담 등 12개 기관별 소액 기술이다.
또한 △강원대학교 팔마로사 유래 천연정유 함유 제초제 기술 포함 3건 △경성대학교 의약/식품, 전자소재, IT, 환경, 기계부품 분야 50건 △단국대학교 증류 커피 기술 포함 6개 기술 △순천향대학교 IT, BT 포함 관련기술 우수기술 200건 △재료연구소 자동차 경량소재 합금 및 CFRP 액상성형 포함 100건 △전남대학교 식물별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방법 기술 △전북대학교 진드기용 천연 살비제, 진드기용 식별표시자 기술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플러그, 차량용 라이다 기술포함 60개 기술 △충남대학교 항균유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항균 유리 기술 등 9개 시관별 사업화 유망기술이다.
참여를 원하는 기관이나 개인은 한국지식재산전략원(02-3475-8521) 또는 특허그룹 인사이트플러스(070-4047-5773)으로 연락하거나 신소재경제신문 공지사항(http://www.amenews.kr/bbs/board.asp?P_BID=bbs1&P_Command=mess&P_Index=923) 란을 확인하면 된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