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대표적인 국가 혁신주체로서의 국가·사회적 임무를 재확인하고, 과학기술혁신 패러다임의 전환을 선도하기 위하여 내·외부 수요를 반영한 출연(연)의 자기주도(Bottom-up) 혁신방안을 수립했다.
출연(연)은 지난 7일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출연(연) 혁신위원 및 언론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연(연) 혁신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6년 8월 이후 추진해 온 출연(연) 혁신방안을 최종 논의·확정하고, 최종 논의 과정 및 내용을 공개해 대국민 이해도를 제고했다.
출연(연) 혁신위원회 3차 전체회의는 출연(연)의 자기주도(Bottom-up) 혁신방안 발표에 이어 각 출연(연)을 대표하는 혁신위원 50명의 검토와 토론으로 이뤄졌다.
전체회의는 혁신위 위원장(정순용 화학연 부원장)의 ‘GRI Innovation 4.0 Initiative - 출연(연)의 자기주도 혁신방안’의 배경 및 취지 발표에 이어, 혁신위 총괄간사(고영주 화학연 본부장)의 혁신안 세부내용 발표로 진행됐다.
이어서 각 출연(연) 부원장과 대표부서장(총50명)으로 구성된 출연(연) 혁신위원이 혁신안에 대한 최종논의를 진행했다.
그동안 출연(연)에서 자체적으로 ‘출연(연) 발전위원회(25개 출연(연) 부원장 협의체)’를 중심으로 ‘출연(연) 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 위원장 화학(연) 정순용 부원장)’를 발족했으며, 약 5개월 동안의 혁신위 활동을 통해 조직·인재경쟁력 혁신, 연구경쟁력 혁신, 시스템경쟁력 혁신의 ‘3대 혁신 전략’과 이를 바탕으로 한 6대 의제를 도출했다.
3대 혁신 전략은 △조직·인재 경쟁력 혁신 △연구 경쟁력 혁신 △시스템 경쟁력 혁신이다.
6대 의제는 △그룹 중심의 조직문화 구축 및 엄격한 연구윤리 정립 △우수인재 유치 및 육성을 통한 개방형 혁신 가속화 △미래 프런티어 원천연구 집중 △국가사회문제 해결형 연구 집중 △출연(연)간 융합 및 협업체계 고도화 △산업혁신을 위한 산학연 플랫폼 구축 등이다.
출연(연) 관계자는 “대한민국이 직면한 성장 정체, 혁신 위기 극복 등 출연(연)에 대한 지속적인 대내외적 요구에 따라 출연(연)이 수립 중인 ‘출연(연) 자기주도 혁신방안’에 대해 출연(연)이 나아갈 방향을 확정했다”며 “이번 전체회의를 통해 확정된 혁신방안은 향후 출연(연) 발전위원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점검·추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