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황사, 매연 등의 영향으로 청정 공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청정공기 압축기술 특허출원이 늘고 있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에 따르면 오염공기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한 청정공기 압축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2000년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기압축기술에서 청정공기 압축기술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을 기점으로, 이전 30%에서 이후 38%로 10% 가까이 증가했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압축과정에서 섞이게 되는 윤활유 및 불순물 제거와 관련된 기술분야인 에어 드라이어, 오일 세퍼레이터, 에어필터 등의 특허출원이 전체의 90% 이상으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압축과정에서 불순물이 원천적으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무윤활 압축기술 분야는 10%미만으로 그 비중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불순물 제거에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무윤활 압축기술 개발이 더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특허청은 예상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한라산 숲에서 발생되는 자연 그대로의 음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채취, 캔에 압축해 판매하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방사능, 황사, 매연, 스모그 등의 영향으로 맑고 깨끗한 공기 질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충족시켜줄 청정공기 압축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