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타치화학, 나노세리아슬러리 생산능력 5배 ↑
편짖ㅂ국 기자
2018-01-31
-
산업통상자원부 과장급 전보
▷에너지기술과장 심진수
▷구주통상과장 박성준
편집국 기자
2018-01-30
-
골드윈, 양파 껍질로 친환경 염색기술 개발
일본의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 회사와 소재 가공업체가 양파를 이용한 친환경 염색 기술을 개발하고 염색 기술을 적용시킨 의류 판매를 시작한다.
(주)골드윈과 일본의 소재 가공업체 고마츠세이렌은 공동으로 특수기술을 활용해 양파 껍질를 사용해 양모 울을 천연색소와 화학염료로 하이브리드 염색한 스포츠 의류를 개발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신 염색 기술은 골드윈의 ‘Icebreaker(아이스 브레이커)’ 브랜드로 1월말부터 판매를 시작한다.
천연염색 제품은 아름다운 반면에 탈색이 쉽고, 기존 스포츠 의류에 사용되는 어려웠지만 이번 양사가 공동 개발한 특수 기술에 의해 탈색하기 어렵고, 아름다운 색상을 즐길 수 양모 울 스포츠 의류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색상은 벚꽃, 양파, 대나무 숯 3가지 색으로 모두 일본 산지에서 얻은 천연 색소를 폐기되는 양파껍질를 사용해 양모 울을 천연 색소와 화학 염료 하이브리드로 염색했다.
회사측은 “새로운 염색 기술은 폐기 될 예정 양파의 껍질을 염료로 사용한 친환경 염색기술이며 양모의 장점을 살려 일상생활에서 착용부터 사계절 스포츠 의류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18-01-30
-
산업부 실·국장급 인사
■실장급 승진
▷유명희 통상교섭실장
■국장급 전보
▷김용래 통상정책국장
편집국 기자
2018-01-29
-
박성택 회장, “中企 대변인 자부심으로 창의적 혁신”
배종인 기자
2018-01-26
-
다이오제지, CNF 건조체 파일럿 플랜트 가동
편집국 기자
2018-01-26
-
중소벤처기업부 과장급 인사
■과장급 전보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서기관 유동준
■과장직위 승진
▷인재활용촉진과장 기술서기관 김민규
편집국 기자
2018-01-26
-
도레이, 멕시코 車 에어백용 나일론 공장 준공
편집국 기자
2018-01-25
-
토아고세이, 액체 가성소다 가격 인상
일본의 화학회사 토아고세이는 액체가성소다의 2018년 2월1일 출하분부터 kg당 20엔씩 가격을 인상한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토아고세이는 “일본 내 액체 가성소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시황의 급격한 상승에 따른 수출 증가로 수급이 불균형인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안정적인 공급을 계속하기 위해선 제조시설의 대형 보수가 필수적이며 또한 주원료인 전력과 수송 비용의 상승도 확실시 되고 있어 사업 환경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편집국 기자
2018-01-25
-
용접인 신년 화합의 場 마련
배종인 기자
2018-01-19
-
스미토모, 매실 가공 폐액으로 바이오가스 발전
편집국 기자
2018-01-19
-
토판인쇄, 中 포토마스크 생산사업 강화
일본 토판인쇄는 반도체용 포토마스크 제조를 담당하는 Toppan Photomasks Inc.의 생산 자회사인 상하이토판포토마스크유한공사의 건물에 최첨단 포토마스크 설비 투자를 결정하고 2018년 가을까지 도입을 완료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토판인쇄는 2018년 4월 65/55nm(나노미터) 포토마스크를, 2018년 중에 14nm 포토마스크 생산을 개시 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반도체 시장은 스마트 폰 등 정보 단말기 및 사물인너텟(IoT) 기기의 고기능화, 소형화 등으로 수요 확대가 계속되고 있으며, 규모는 2018년 약 50조엔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많은 반도체 업체들이 생산 거점의 부설을 진행하고 있으며, 첨단 포토 마스크의 왕성한 수요가 전망되는 것과 동시에, 현지 생산에 의한 안정된 공급 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1961년에 포토 마스크 사업을 시작 토판인쇄는 중국에서는 1995년에 TPCS에서 생산을 시작해 2015년에는 90nm에 대응 한 포토마스크 생산 시설을 도입. 동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켜왔다.
토판인쇄는 “설비 투자를 통해 중국에서 최첨단 포토 마스크 생산을 강화하고 기존의 일본 ·대만의 생산 거점과 총력을 결집 해 아시아 시장에서 2020년에 약 450억엔의 매출을 목표로 할 것”이라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10nm 이후의 차세대 포토 마스크 제조 외에도 7nm 세대에서의 채용이 예상됨에 따라 EUV 마스크 등 첨단 제품의 개발을 계속 세계적으로 호황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편집국 기자
2018-01-19
-
테이진, 압전 자수 개발
편집국 기자
2018-01-18
-
아사히글래스, 자외선 LED용 석영렌즈 개발
편집국 기자
2018-01-17
-
미쓰비시, 세정공정 없는 금주석합금페이스트 개발
편집국 기자
2018-01-16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