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고효율화 ‘성공’
신근순 기자
2012-08-28
-
성형 폴리머 수요, 2016년 2억5,200만㎡ 전망
고봉길 기자
2012-08-28
-
저점 찍은 비철금속價, 3분기 반등한다
신근순 기자
2012-08-28
-
(10)압전소재-소재기술백서 2010(에너지·환경소재)
이일주 기자
2012-08-28
-
2012년 1분기 소재부품산업 동향과 이슈
배종인 기자
2012-08-28
-
플렉시블 소재부품 ‘한자리’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지난 22~24일까지 킨텍스 국제전시장(4, 5 Hall)에서 ‘2012 국제 터치패널 산업전 및 국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전(TOUCH PANEL KOREA & FLEXIBLE DISPLAY KOREA)’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기술이 주관하고,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대구TP나노부품실용화센터(감성터치산업기술지원센터), 전자부품연구원 등이 후원하며 국내외 320여 업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디지털 전시회다. 아울러 전시기간 동안 ‘2012 LED TECH KOREA & OPTICAL EXPO’도 동시 개최됐다. 국제 터치패널 산업전에서는 터치패널 관련 기술/제품/터치패널모듈/ 디스플레이, 부품/재료, 장비/장치, 필름검사/측정평가/시험시스템, 필름성형/가공장비, 필름가공관련제품, 인쇄기술, 프로세스기술, 클린룸 관련 제품 등이 소개됐다. 국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산업전에서는 생산/제조장비, 테스트 및 검사 장비, 부품 및 소재 등이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는 SFD소재사업단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개발관련 기술과 일체형TSP 강화글라스 가공장비, 인쇄기/ITO실버인쇄, 롤투롤 TSP(전자인쇄장비)와 차세대 먹거리 창출을 위한 최신 플렉시블 소재, 부품 관련 국내외 기업이 참가해 관련 업체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한국광기술원(LED연구사업본부), 대구TP나노융합실용화센터의 공동 주관으로 △2012 일체형 TSP 제조를 위한 최신 기술 세미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및 인쇄전자 응용기술 세미나 △2012년도 차세대 TSP 산업 기술 동향 설명회 △휴대용 모바일 기기에 필요한 최신 플렉시블 PCB 제조, 공정 기술 세미나 △2012 신제품 발표회 △전시장 특별 이벤트관-터치패널 기술 시연관(모션 인식&멀티포인트) 등 부대행사도 진행됐다.
배종인기자 기자
2012-08-24
-
랑세스, 2분기 매출 24억2천만유로
고봉길 기자
2012-08-24
-
울산시, ‘비철금속 고도화사업’ 기업지원
울산시는 울산지역 내 비철금속 분야 자원순환 고도화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2012년도 기업지원사업’을 접수받는다고 밝혔다. ‘비철금속 자원순환 고도화사업’은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울산지역에 밀집한 주요 뿌리산업의 하나인 비철금속산업 활성화를 위해 기술 네트워크 구축, 기업지원, 인력양성, 마케팅을 일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청정기술센터 주관으로 지난 3월부터 1단계 1차년도 사업이 본격 추진 중에 있다. 이번 사업은 울산시와 지식경제부의 지원으로 1단계 사업비 25억2,000만원으로 3년 동안 사업이 진행되며 향후 3년간 2단계 사업비 30억원을 추가 확보, 추진될 계획이다. 지원대상 분야는 산업단지 비철금속 부산물, 폐자원의 3R(Reduce, Reuse, Recycling) 기술, 도시광산 중 유가금속 회수 등 3R 기술, 희소금속 3R 기술, 및 기타(비철금속 자원순환율 고도화 기술 등) 등이다. 신청은 지원 희망기업이 애로기술지원신청서를 작성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친환경청정기술센터 전화(052-980-6615), 팩스(052-982-6669) 또는 이메일(choijh@kitech.re.kr)로 오는 31일까지 접수하면 된다. 선정된 대상기업은 과제당 2000만원 이내로 오는 9월부터 본격 지원받는다.
고봉길 기자
2012-08-24
-
특수 실리카 수요, 2016년 270만톤 전망
특수 실리카의 세계수요가 중국과 인도 등의 시장 확대로 2016년 270만톤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The Freedonia Group이 최근 발행한 ‘세계의 특수 실리카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침전 실리카, 퓸드 실리카, 실리카 겔, 실리카 졸을 포함하는 특수 실리카의 세계 수요는 2016년 27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수 실리카의 가장 큰 시장인 고무 부문의 빠른 성장은 중국과 인도 같은 개발도상국의 확대에 따른 것이다. 고무 공업은 세계적으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불황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지만,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서 실리카 수요에 순풍이 불고 있다. 2016년까지 양적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건식 실리카(Fumed Silica)이며, 이것은 경제가 회복되면서 공업 고무용 실리콘 고무 생산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습식 실리카(Precipitated Silica) 수요도 타이어 이외의 고무 제품 생산이 증가하면서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특히 ‘친환경 타이어’ 도입이 습식 실리카 수요 증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친환경 타이어는 지면과의 마찰을 줄이고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 습식 실리카를 사용하는데 서유럽에서는 이미 일반화됐지만, 소비자가 환경친화적이고 또 연비효율이 높은 타이어를 요구함에 따라 ‘친환경 타이어’는 북미와 일본, 개발도상국가 지역에서도 수요가 늘고 있다.또한 더 많은 상품들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카 첨가물을 사용함에 따라 실리카는 또한 화학 시장 내 수요에서도 많은 이익을 볼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반도체 연마 분야에서 더욱 급속한 성장이 예상되는데 반도체 디바이스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화학적 기계 연마(CMP)액보다 입자 크기가 작고 응집이 어려운 실리카 졸(Silica Sol)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이다.식품과 사료시장의 성장은 개발도상국에서 가공식품이 점점 많이 사용됨에 따라 여전히 적당한 수요는 유지하겠지만 선진국의 시장 성숙도에 의해 제한되고 있다. 화장품 관련 시장은 치약에 실리카 사용이 증가하면서 더 많이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같은 개발 도상국에서의 개인소비지출 증가가 성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화장품과 고양이 모래 등의 용도로 성숙 시장이 되었고, 실리카 겔(Silica Gel) 시장의 성장은 정체돼 있다.
배종인 기자
2012-08-24
-
희성금속, 日 EEJA 금도금액 생산개시
희성금속(대표 권영제)이 다나까 귀금속그룹에서 도금사업을 맡고 있는 일본 일렉트로 플레이팅 엔지니어스(EEJA)의 비시안 금도금액을 24일부터 생산·공급한다. 비시안 금도금액은 액정 패널용 구동(드라이버) IC의 웨이퍼 범프 공정에 현재 주류로 사용되고 있는 금도금액이다. EEJA는 최근 한국의 액정산업이 본격적으로 가속화됨에 따라 약 5억엔을 투자해 희성금속과 설비를 마련한바 있다. 이번에 희성금속이 국내 생산에 나섬에 따라 현지 고객에 대한 납기를 기존 10일에서 5일 이하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EEJA와 희성금속이 각각 제품 재고를 보관할 수 있어 공급망에 대한 리스크 분산효과도 있다.또한 현지고객 밀착형 연구 개발과 수송비 절감 효과는 물론, 회수한 폐금도금액을 국내에서 정제·재제품화 할 수 있어 고객의 귀금속 가격 변동 리스크 감소에도 이바지할 전망이다.EEJA는 한국의 액정 구동 IC용 금도금액 시장 점유율을 현재 약 60%에서 2015년까지 약 80%로 끌어올려 연간 120억엔의 판매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회사 관계자는 “향후 한국의 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액정 패널 외에 각종 전자부품 등에 사용되는 비시안 금도금액의 현지 생산·공급도 추진해 사업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1974년 LG전자와 다나까귀금속의 합작사로 설립된 희성금속은 귀금속을 원료로 하는 공업용 소재부품을 생산·판매하며 지난해 9,58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신근순 기자
2012-08-24
-
(7) 풍력소재-소재기술백서 2010(에너지·환경소재)
이일주 기자
2012-08-24
-
나노코리아 10주년 기념 좌담회
신근순 기자
2012-08-23
-
휘는 고효율 배터리 세계최초 개발 성공
신근순 기자
2012-08-23
-
제10회 나노코리아 2012 ‘성료’
신근순,이일주 기자
2012-08-23
-
(9) 압전소재-소재기술백서 2010(에너지·환경소재)
이일주 기자
2012-08-23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