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재산서비스協, 日 PIFC 시장개척단 모집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가 ‘2017 일본 특허정보 페어&컨퍼런스(PIFC)’에 참여할 공동부스 참가기업 및 시장개척단, 참관단을 모집한다.
2017 일본 특허정보 페어&컨퍼런스는 11월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일본 동경 과학박물관에서 개최되며, 2016년 기준으로 102개사가 참가했고, 1만9,300여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협회는 특허청의 지원으로 ‘KOREA IP Service’라는 부스명으로 공동 부스를 구성한다. 참가대상은 특허정보 및 기술거래, IP번역 등 지식재산서비스 기업 또는 특허법인 및 사무소, 지식재산 관련 유관기관 등이다.
전시 예정 품목은 △특허정보 DB/솔루션/툴 △특허정보 조사·분석 서비스 소개 △특허기술 거래 서비스 소개 △기타 특허 관련 출원/컨설팅 서비스 등이다.
공동홍보부스 및 부스 내 필요한 가구 대여비는 특허청에서 전액 지원하며, 전시 부스 운영 지원을 위한 통역원도 제공된다.
공동홍보관 참여기업은 1인 이상 시장개척단 참여가 필수요건이며, 원활한 공동홍보부스 운영을 위해 최대 8개 기업, 기관으로 구성된다.
시장개척단은 11월7일부터 10일까지 3박4일간 활동하며, 비용은 135만원이다. 참관단은 11월8일부터 10일까지 활동하며, 비용은 115만원이다.
시장개척단과 참관단은 △컨퍼런스 및 전시회 참석 △일본 IP 관련 주요 기관 방문 및 산업 시찰 △일본 시내 관광 △한·일 IP서비스산업 교류회 △부스 운영 및 기업 홍보(시장개척단만 해당) 등을 할 예정이다.
부스 참여와 시장개척단, 참관단 참여 신청은 한국지식재산서비스협회 사무국 이현진 주임(02-3789-7011, jin89@kaips.or.kr)에게 하면 된다.
엄태준 기자
2017-09-01
-
日, 결정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26.63% 달성
편집국 기자
2017-08-31
-
“협동조합 공동행위, 공정거래법 적용 배제 必”
편집국 기자
2017-08-31
-
현대차, 2017년 하반기 신입·인턴사원 채용
현대자동차가 하반기 신입 및 인턴사원 채용에 나선다.
현대차는 이달 31일부터 채용 홈페이지(recruit.hyundai.com)를 통해 신입사원은 △R&D △Manufacturing △전략지원 등 3개 부문, 인턴사원은 △R&D △Manufacturing △전략지원 △S/W △디자인 등 5개 부문에서 2017년 하반기 신입 및 인턴사원 채용을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신입사원 채용은 2018년 2월 졸업 예정자 또는 기졸업자(석사 포함)를 대상으로 △R&D 부문 (기술경영, 차량설계, 차량평가, 파워트레인, 상용차개발, 재료, 파이롯트) △Manufacturing 부문 (구매/부품개발, 플랜트, 안전/환경) △전략지원 부문 (상품전략, 마케팅, 영업/서비스, 경영기획, 홍보, 재경, 경영지원, 신사업전략, IT) 등 3개 부문에서 모집이 진행된다.
신입사원 채용 과정은 서류전형, 인적성 검사(HMAT) 및 역사에세이, 면접(1·2차) 및 신체검사 순으로 진행된다.
지원서는 8월31일 13시부터 9월8일 오전 11시59분까지 현대자동차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서류전형 합격은 9월 마지막 주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적성 검사 및 역사에세이 전형은 9월30일 실시될 예정이며, 해당 전형 합격자는 10∼11월 두 차례의 면접을 통해 12월 중순에 최종 입사가 결정된다.
인턴사원 채용은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하는 △R&D △Manufacturing △전략지원 부문 외에 △S/W 부문과 △디자인 부문 등 총 5개 부문에서 진행된다.
특히 인턴 채용만 진행하는 S/W 부문과 디자인 부문은 인적성 검사 단계에서 ‘코딩 테스트’와 ‘디자인 실기’와 같은 별도의 실기 역량 평가와 별도의 인성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R&D 부문, Manufacturing 부문, 전략지원 부문, S/W 등 4개 부문은 2018년 8월 또는 2019년 2월 졸업 예정자면 지원할 수 있다.(※단, 대학교 4학년 2학기 재학생 및 휴학생은 지원 불가)
디자인 부문은 2018년 8월 졸업 예정자 또는 2019년 2월 졸업 예정자를 비롯해 기졸업자, 석사 학위자도 지원이 가능하다.
지원서 접수 기간은 신입사원 채용과 동일하며, 신입사원 채용과 중복 지원은 할 수 없다.
인턴사원 채용은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인적성 검사(9월30일)와 면접전형(10∼11월)을 거쳐 선발하며, 2018년 1월부터 진행되는 업무 실습을 우수하게 수료한 지원자는 현대자동차의 신입사원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편집국 기자
2017-08-30
-
산업부, 2018년 예산안 6조7,706억원…전년比 2.9%↓
산업통상자원부 내년도 예산이 어려운 재정여건으로 소폭 줄어든 가운데 새정부의 일자리중심 경제,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전환, 미래신산업 육성, 수출구조 고도화등을 중심으로 편성됐다.
산업부는 2018년 예산안 규모가 전년대비 2.9% 감소한 6조7,706억원으로 편성됐다고 밝혔다.
주요 예산안을 살펴보면 신기후체제 대응, 미세먼지 등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원을 석탄·원전 중심에서 신재생 등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는데 1조6,570억원이 투입된다. 이는 전년대비 17.3% 늘어난 수치다.
이의 일환으로 농촌태양광 등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강화하고, 주택·아파트·학교 등 자가용 태양광 보급 지원을 대폭 확대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에 2,360억원,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에 2,000억원 등이 투입된다. ESS(489억원), 스마트그리드(425억원), 발전단가 저감 및 효율향상(1,858억원) 등 핵심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확대된다.
4차 산업혁명의 도전을 신산업 창출의 새로운 기회로 만들기 위한 고부가가치 미래신산업 육성부문 예산안인 전년대비 6.1% 늘어난 9,751억원으로 배정됐다. 기존 주력산업과 ICT 융합을 위한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신규 28억원),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422억원)이 추진되며 자율주행자동차핵심기술개발(181억원),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103억원) 등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한 신기술 융합·실증 등에 대한 투자도 늘어났다. 이밖에 제조업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신발지능형공장(신규 10억원), 스마트공장제조핵심기술개발(신규 40억원), 엔지니어링핵심기술개발(215억원) 등도 확대 추진된다.
수출 품목 다양화, 시장 다변화 등 수출구조 혁신을 위한 수출구조고도화에 전년대비 4.6% 증가한 3,689억원이 배정됐다.
수출이 양질의 일자리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비재해외마케팅사업(446억원), 수출바우처사업(646억원) 등 중소·중견기업 대상 마케팅 지원이 강화되며 중·미 시장에 편중된 수출을 다변화하기 위해 ASEAN·인도 등 전략지역 무역사절단 파견, 수출상담회 개최를 위한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646억원), 전략지역특화 해외진출지원(신규 18억원), 세계엑스포참가지원(신규 11억원) 등이 투입된다.
이밖에 세계적인 보호무역 확산에 적극 대응하고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과의 전략적 경제협력 강화를 위해 한미간 신경제통상 구축(12억원), 미주·구주·아주 등 주요지역 양자산업협력(91억원) 등도 배정됐다.
신근순 기자
2017-08-29
-
현대차, 글로벌 교통안전 동참
배종인 기자
2017-08-28
-
박성택 중기중앙회장, “일자리 창출 정부·기업 협력 必”
배종인 기자
2017-08-28
-
박성택 중기중앙회장, 여당에 소상공인 부담완화 요청
배종인 기자
2017-08-28
-
산업통상자원부 국장급 전보
▷통상협력국장
편집국 기자
2017-08-25
-
英,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가동
배종인 기자
2017-08-2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8월24일
■ 국장급 전보
▷우정사업본부 보험사업단장 신현준
편집국 기자
2017-08-24
-
스미토모 금속, SOFC 니켈산화물 분말 양산화
스미토모 금속 광산이 SOFC(고체산화물연료전지) 전극의 주요 재료인 니켈산화물 분말 양산에 나선다.
스미토모 금속 광산 주식회사는 지난 21일 연료전지의 전극용 고순도 산화 니켈 분말 양산화 실증 설비를 2018 년 상반기를 목표로 에히메현에 스미토모 광산이 보유한 공장에 구축한다고 밝혔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화학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일으키는 친환경, 고효율 발전 시스템으로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주택, 점포, 공장 용 등 다양한 용도의 발전 설비로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어 향후 시장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산화니켈분말은 연료전지 중에서도 가장 발전 효율이 높은 SOFC의 전극에 사용되는 소재다. 회사는 이번 공장 증설이 향후 연료전지의 본격적인 제품화로 인한 산화니켈분말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스미토모 금속 광산은 니켈 원료의 제련에서 재료 제조까지 일관 생산 공정을 보유하고 있는 강점 외에도 다양한 기능성 재료의 개발, 생산에서 축적 된 분체 제어 및 양산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시장 요구에 부응하면서 환경친화적인 에너지 사회 구축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17-08-23
-
도레이, 헝가리 PPS 수지 컴파운드 공장 신설
도레이가 유럽에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컴파운드 공장을 신설한다. 공장설립을 통해 유럽 시장에 공급 체제의 강화와 신규 수요의 개척을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도레이 주식회사는 미국 자회사 라지토우 탄소섬유의 세계 최대 공급 업체인 Zoltek Companies(이하 Zoltek ) 헝가리 공장에 PPS 수지 컴파운드 생산설비를 신설키로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도레이 그룹이 유럽에 수지 컴파운드 거점을 설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해당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산 3,000톤으로 가동은 2018년 3월이 목표다.
PPS 수지는 내열성과 내 약품성, 기계적 강도, 난연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진 고기능 소재로 그 특성을 살려 자동차 전장 부품 및 엔진 부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자동차의 연비 및 CO₂배출량 규제, 안전 규제가 세계에서 가장 어렵고, 부재의 수지에 의한 경량화 및 센서 부재의 개발 등 새로운 기술이다. 이에 세계를 리드하는 유럽계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최근 PPS 수지의 사용량을 늘리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기기, OA 기기, 주택 관련 부품 등의 산업 용도에서도 채용이 확대 등 PPS 수지의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현재 도레이 그룹은 PPS베이스 폴리머로 연간 2만7,600톤의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고 폴리머 컴파운드에서 섬유, 필름까지 다루고 있다. 헝가리 공장이 완공되고 나면 총 생산량은 연간 3만톤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에는 유럽에서의 수지 마케팅 기술 서비스 기능을 갖는 판매 회사로서, Toray Resins Europe GmbH (약칭 TREU)를 독일에 설립해 일본계 자동차 부품 메이커와 유럽 자동차 부품 업체 등과의 연계를 강화, 현지에서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제를 구축해 왔다.
이번 Zoltek 헝가리 공장의 인프라 인원을 활용 한 PPS 수지 생산 거점 설치해 도레이 그룹은 일본, 중국 (심천, 소주, 청두), 한국, 태국, 미국, 헝가리의 6 개국 8 거점으로 PPS 수지 컴파운드 거점을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도레이 관계자는 “도레이는 중기 경영 과제 ‘프로젝트 AP-G 2019’의 기본 전략의 하나로서 ‘글로벌 사업 확대 및 고도화’ 를 추진중”이라며“ ”이번 거점 설립은 유럽에서의 수지 사업 확대의 핵심으로 자리 매김 세계 넘버원 PPS 수지 메이커로서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해 나갈 생각“이라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17-08-23
-
랑세스, 2Q 매출 25억 유로…전년比 30% ↑
배종인 기자
2017-08-21
-
日, 안전·고효율 이리듐 촉매 수소 저장 시스템 개발
편집국 기자
2017-08-18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