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경력사원·신입박사 채용
현대자동차가 22일부터 2016년 경력사원 상시 공개채용 및 국내 대학 신입박사 채용을 시작한다.
지원 접수는 현대차 채용 홈페이지(http://recruit.hyundai.com)를 통해 진행되며, 본인의 경력에 맞는 직무 및 전공분야를 확인 후 지원하면 된다.
모집 대상은 국내외 4년제 정규대학 졸업자 중 △학사학위 소지자는 해당 분야 3년 이상 경력 보유자 △석사학위 소지자는 학위취득 후 1년 이상 경력 보유자 △박사학위 소지자는 해당 분야 학위 취득자(올해 8월 졸업 예정자 포함)에 한한다.
모집 분야는 △연구개발 △플랜트운영 △마케팅 △경영기획/지원 △국내영업/서비스 △재경 △정보기술(차량지능화) 등 7개 부문으로 부문별 세부 공고가 게시될 예정이며 각 공고별 채용 절차는 별도로 진행될 계획이다.
채용 전형은 △서류전형 △면접전형 △신체검사의 순으로 진행되며 각 전형별 합격 여부는 채용 홈페이지와 개인 이메일을 통해 안내된다.
또한 현대차는 연구개발부문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 대학 신입박사 모집 채널을 작년에 이어 별도 마련해 국내 대학 출신의 역량이 우수한 신입박사 인재 선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입박사의 경우 직무 경험 유무보다는 전공과 연관된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별도 채널을 마련한 것으로 모집 대상은 국내 정규대학 박사학위 취득예정자 및 박사후 과정(Post Doc.)에 한한다.
모집 분야는 △친환경차 △전자/제어/차량IT △재료 △차량시험 △파워트레인 등 5개 분야로 채용 홈페이지에 모집 공고가 게시될 예정이다.
한편 현대차는 지원자들이 경력사항을 단순 나열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해 지원서 항목에 각 경력별 담당역할 및 주요 업무성과에 대한 상세 기술을 요구함으로써 지원자가 해당 모집 분야와 관련된 본인의 역량을 성실히 기술할 수 있도록 했으며, 특허 및 논문실적까지도 추가 기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채용에서 현대차는 미래 성장동력 및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연구개발 부문, 그 중에서도 특히 △친환경차 △전자/제어/차량IT 분야의 우수인재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배종인 기자
2016-04-22
-
3D프린팅산업協, 융합포럼 및 정기총회 성료
신근순 기자
2016-04-21
-
센트롤, 3D프린터 해외 진출 본격화
배종인 기자
2016-04-21
-
기산진, 세계 기계시장 공략
국내 우수 기계 제조기업들이 독일 하노버에서 세계 수출시장 공략을 위해 나섰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회장 정지택)는 삼익정공(주), 유진테크(주) 등 국내 우수 기계류 제조기업 71개사가 4월25일부터 29일까지 5일간 개최되는 독일 하노버산업박람회(Hannover Messe 2016)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산업기술전인 하노버 산업박람회는 2013년부터 ‘통합산업(Integrated Industry)’이라는 대주제 아래 Industry 4.0 실현에 필요한 과제들을 전시회 핵심 테마로 선정하고 있다.
올해 70회째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는 ‘통합산업-솔루션 발견(Integrated Industry-Discover Solutions)’이라는 테마로, 생산라인의 스마트화를 위한 각종 솔루션 및 디지털기술들을 선보인다. 특히, 스마트그리드, 컨디션모니터링, 에너지효율성 등을 중심으로 산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최신 기술과 제품이 전시된다.
65개국 6천여개사가 참가하는 하노버 산업박람회에 우리나라는 기계산업진흥회와 KOTRA가 공동구성한 한국관 29개사를 비롯해, 부산관 8개사, 충북관 6개사, 개별참가 28개사 등 총 71개 업체가 참가한다.
한국관에는 공압밸브, 크레인, 마찰용접기, 로터리 조인트, 모터, 차단기, 커플링 등이 출품했으며, 품목에 따라 산업자동화관 및 에너지기술관 등에 나누어 배치됐다.
우리나라가 지난 2009년에 참가한 바 있는 동반국가관에는 올해 미국이 동반국가로 참가해 ‘Made in USA’라는 슬로건 아래 GE, Microsoft, AT&T, IBM 등 200여개사가 참가하며, 오바마 대통령이 메르켈 총리와 함께 개막식 참석과 전시회를 참관 할 예정이다.
한편 진흥회는 전시회 기간 동안 (주)아일 등 17개사로 구성된 참관단도 파견한다. 이번 참관단은 전시회를 비롯하여 글로벌 자동화 전문기업 WAGO와 B&R시찰 및 독일 제조기술 허브인 프라운호퍼연구소를 방문할 예정이다.
박영탁 기산진 상근부회장은 “하노버산업박람회는 짝수년도가 홀수년에 비해 전시분야수가 적은 관계로, 2014년과 비교하면 올해 참가단 및 참관단 규모가 크게 증가하여 우리 기업들의 수출 의지 및 수출확대 가능성이 희망적”이라며 “최신기술 트렌드 및 적용사례들을 확인하고 EU시장을 공략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종인 기자
2016-04-21
-
VR·AR 특허출원 1등 ‘게임’
편집국 기자
2016-04-21
-
3D프린터 KC인증, 아는 만큼 시간·비용 줄인다
신근순 기자
2016-04-21
-
캐리마, ‘주얼리 3D 프린터’ 선
배종인 기자
2016-04-20
-
현대엘리, “2030년 세계 TOP 7”
배종인 기자
2016-04-20
-
3D프린팅조합 신홍현 이사장 연임
신근순 기자
2016-04-20
-
현대차, 커넥티드 카 개발 본격 시동
배종인 기자
2016-04-19
-
ETRI, 개인 맞춤·소량 생산시대 연다
편집국 기자
2016-04-19
-
미쓰비시중공업, 호주·오세아니아 기반 확대
미쓰비시 중공업이 호주와 오세아니아에서의 입지 강화를 위해 호주법인 설립에 나섰다. 향후 다양한 사업분야의 공급체인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미쓰비시중공업(MHI)은 지난 15일 미쓰비스 중공업은 호주와 오세아니아 지역의 사업 구조 강화를 위한 정보 수집과 판매 지원 차원에서 시드니에 MHI 호주 법인을 설립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MHI는 호주는 에너지와 광물자원 특히 풍부한 천연가스와 석탄이 매장돼 있고 탄탄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구조에 대한 성장이 기대되어 호주의 중요한 입지를 활용한 영업을 촉진하는 데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MHI는 새 법인 설립을 통해 호주 정부기관 및 경제·산업계와의 협력 강화와 대학과 연구소를 포함한 호주 학계와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삼는다.
또한 호주MHI는 △ 화력발전 설비를 포함한 에너지 및 환경 분야 △천연가스 분야의 사용을 위한 물류 시설과 컴프레서 제품 등의 다양한 분야. 또한 호주 MHI 지역사회의 인접성과 유대관계를 적극 활용해 지역 대학 및 공공/민간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위한 기반도 다질 계획이다.
MHI는 호주 법인을 통해 MHI의 다양한 사업 분야에 걸쳐 호주에 공급체인을 구축 할 것이라 밝혔다. 일례로 일본정부와 MHI는 호주의 차기 잠수함 프로그램의 파트너 선정 과정에 참여할 예정이다
MHI의 미야나가 슌이치 사장 겸 CEO는 “1969년 퀸즈랜드 타운스빌 외곽 콜린스빌의 발전소에 증기터빈을 납품했던 것을 시작으로 MHI 그룹은 많은 화력발전 시스템과 컴프레서, 제철기계를 공급해 호주의 급속한 발전에도 기여했다”고 말했다.
이어 “호주의 산업계 및 학계의 진보적 이니셔티브에 보조를 맞춰 우리는 호주의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혁신의 물결을 일으켜 공동 성장과 번영을 추구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MHI는 호주 및 오세아니아 지역의 시장 및 고객과 밀접한 유대를 형성하고 이 지역의 경제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는 데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MHI 2015년 3월31일에 마감한 2014회계연도에 연결매출 3조9921억엔을 달성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의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라인업에는 조선, 발전소, 화학플랜트, 환경시설, 강구조물, 산업기계류 및 일반기계류, 항공기, 우주시스템, 공기조절장치 등이 있다.
편집국 기자
2016-04-18
-
현대重, 유럽 건설장비시장 공략 강화
편집국 기자
2016-04-16
-
‘제17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16, 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배종인 기자
2016-04-14
-
기계연, 첨단레이저 생산제조 기술 세미나 열어
편집국 기자
2016-04-14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