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국제강, 인천 공장 시운전 돌입
신근순 기자
2012-06-20
-
‘ANEX (아시아 부직포 산업 전시회 및 컨퍼런스) 2012’
신근순수 기자
2012-06-20
-
(3)에너지·환경소재-태양전지소재
이일주 기자
2012-06-18
-
철강協, “中 불공정 수입 시정해 달라”
한국철강협회(회장 정준양)가 세계 최대 철강 생산 및 소비국이자 한국의 최대 철강교역대상국인 중국과 불공정 수입 철강제품 등 현안을 논의했다.지난 15일 중국 항주에서 열린 ‘제17차 한-중 민관 철강협의회’에는 지식경제부 김현철 철강화학과장, 한국철강협회 오일환 부회장과 중국 상무부 외무사 황신(黃愼) 처장, 중국강철협회 왕춘생 부비서장 등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우리측은 중국산 보론강 수입과 관련, 중국이 보통강에 대한 수출 증치세 환급은 폐지하고 합금강은 유지하자 보론을 첨가하는 편법으로 증치세를 환급받은 저가 철강재의 수입 급증으로 국내 관련 업계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특히 한국은 보론강 문제가 중국 정부의 수출정책 기조가 시장에서 왜곡되고 있는 문제임으로 중국 정부의 각별한 관심을 촉구했다. 또한 우리측은 불공정 수입 문제의 심각성을 설명하고, 중국 정부 및 철강업계의 이해를 촉구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중국·일본 등 주요 철강 생산국과 철강 분야 양자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통상 마찰 우려가 있는 경우 사전 협의해 원만하게 해결하고 철강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체계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2-06-16
-
플렉시블 D/P·TSP 차세대소재 세미나 개최
LCD와 OLED 등 평판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소재에 대한 소재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관련 업계의 현황 및 기술동향을 살피고 사업화를 모색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산업교육연구소(http://www.kiei.com)는 오는 27일 오전9시50분부터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TSP(터치스크린패널) 차세대소재 개발동향과 상용화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화질 저하없이 굽히거나 감을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2020년 50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될 정도로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와 제일모직, LG화학, 삼성전자 등은 대형 국책 R&D사업인 WPM사업을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소재를 개발 중이다.이번 세미나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TSP용 차세대 소재의 관련업계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을 비롯해 각 소재별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진척현황에 대한 제반정보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게 된다.주요 발표 주제를 살펴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TSP 차세대소재의 국내외 시장동향과 관련업체 현황 및 국내 기술수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TSP를 위한 그래핀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TSP를 위한 CNT(탄소나노튜브)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TSP를 위한 은나노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용 기판재료 및 원·부자재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재료의 기술개발 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 소재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플렉시블 AMOLED용 발광재료 기술개발동향 및 상용화 진척현황 등이다.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신사업을 기획할 때 과거에는 세트, 모듈 중심으로 초점을 맞췄으나 최근에는 소재·부품 등 인프라까지 염두에 두고 진행하고 있을 정도로 소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며 “이번 세미나가 우리나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TSP 차세대소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상용화 촉진을 위한 이슈를 점검하는 한편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기타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kiei.com)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2-06-16
-
충남 논산 국내 최대 Al 생산기지 부상
고봉길 기자
2012-06-15
-
세계 니켈시장, 올해 5만톤 공급 과잉
올해 세계 니켈시장의 공급과잉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글로벌인포메이션(www.giikorea.co.kr)은 ResearchInChina가 최근 ‘세계 및 중국의 니켈 산업’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Anglo American의 Barro Alto와 VALE의 Once Puma 등 니켈 생산 프로젝트가 본격 시작되고 중국이 니켈 선철 생산량을 늘리면서 올해 5만톤 이상의 니켈 공급과잉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세계 니켈 생산은 지난해 전년 대비 10% 증가한 15억8,900만톤을, 소비는 6.9% 늘어난 15억7,200만톤을 기록한 바 있다.
전세계적으로 니켈 공급이 수요를 앞질렀으나 중국은 오랫동안 니켈 공급 부족 상태를 지속해 생산량을 급속도로 늘려왔다. 특히 스테인리스 비즈니스로 인해 니켈 선철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니켈 선철 생산량과 정련 기술이 동반 발전한 것.
2010년 중국의 니켈 생산량이 32만6,000톤에 달하면서 처음으로 전해 니켈 생산량을 웃돌았다. 지난해 중국의 니켈 생산량이 44만6,000톤 정도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는데 이 중 전해 니켈이 41.5%, 니켈 선철이 56.5%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은 니켈 선철 생산에 필요한 니켈 라테라이트 광석의 거의 전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호주에서 수입한 니켈 광사와 니켈 정광이 총 4,800만톤에 달했다. 이것은 전년대비 94.4% 증가한 수치이고, 특히 라테라이트 광석은 98% 이상을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근순 기자
2012-06-15
-
한국바스프 신우성 대표, 산업포장 수훈
신근순 기자
2012-06-14
-
OCI, P-Si 1만톤 증설in
고봉길 기자
2012-06-14
-
(2)에너지·환경소재-이차전지소재
이차전지 세계 동향 및 국내 현황과 과제||■국가별 동향(미국)◇주요 정책 및 연구개발 프로그램 미국은 1991년 USABC(United States Advanced Battery Consortium)와 2003년 FreedomCAR & Fuel Partnership을 설립하고, 자동차용 전지 개발을 위해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축해, 수명 15년, 출력 25 kW 및 가격 20달러/kW의 전지를 2010년까지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했다.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는 에너지저장 및 자동차용 이차전지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2009년 8월 전기차용 전지와 소재분야에 15억달러를 지원했고 전지관련 기반 구축을 위해 국립연구소별로 특화시켜 2,500만달러를 지원했다.DOE내 Office of Science에서 기초기술과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2009년부터 이차전지와 관련 4개의 EFRC(Energy Frontier Research Center)를 선정, 총 6,500만달러 이상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기초원천 연구부터 핵심소재 및 전지개발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양극, 음극 및 전해액관련 연구는 연구소 및 대학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배려하고 있다.||■국가별 동향(일본)일본은 2007년 전지 관련 산업체·연구계·학계 전문가가 참여해 일본의 전지개발 로드맵을 작성했으며, 이 로드맵을 기준으로 NEDO의 ‘차세대 자동차용 고성능 축전시스템 기술개발과제‘ 가 진행 중이다.이 로드맵을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110억엔의 자금을 투입, ‘차세대 자동차용 고성능 축전시스템 기술’ 개발을 진행했으며 최종목표는 현재 전지성능 1.5배, 가격 1/7을 달성하는 것이었다.연구 내용으로는 요소기술, 차세대기술, 기반기술 등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요소기술 개발에는 각종 전지소재의 고성능화·모듈화 기저코스트화 기술 등이 포함돼 있다.또한 2009년부터 7년간 ‘All Japan Project’라는 별칭의 ‘혁신형 전지 첨단과학 기반연구사업’에 총 210억엔을 지원, 전기자동차용 전지시스템 개발을 실현으로 탄소 배출량을 1/4로 저감하기 위한 21개 과제에 산·학·연이 참여하고 있다. ||■국가별 동향(유럽) 독일,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기차·에너지 저장 분야의 프로젝트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용 이차전지 프로젝트LIB2015 프로젝트는 독일의 폭스바겐, BASF, Li-Tec, Bosch 등이 컨소시엄을 형성 2008~2011년까지 6,000만유로를 투입해 전기차용 전지를 개발 추진한 프로젝트다.Federal Economic Stimulus Package II-Projects는 EU가 2009~2011년까지 5억유로를 투입해 E-Mobility Center 구축, 전기화학 연구 클러스터, 에너지연구, 배터리 제조, 필드 테스트, 배터리 시험센터, 리사이클링 파일롯 설비를 구축한 프로젝트다.◇에너지 저장용 이차전지 프로젝트독일 Ministry of Economy는 2009년부터 3,500만유로를 지원해 에너지 저장용 전지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또 독일 환경부와 프랑스 경제성은 공동으로 태양광 주택용 LIB 개발 프로젝트(SOLION, 2012년 상용화 목표)를 진행 중이다.■국가별 동향(중국)중국은 중대형 전지기술을 핵심기술로 지정해 육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국가첨단기술 연구발전 프로젝트(863 project)를 통해 탐구형(100만 RMB)과 목표지향형(500만 RMB) 과제로 전기자동차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China Torch Program' 프로젝트로 자동차와 전지업계가 연계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국가별 동향(한국) ◇기술경쟁력 분석 현재 상용화된 소형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양극소재는 유미코아, L&F, 에코프로, 대정이엠, 새한미디어 등에서 양산하고 있으며, 기술수준이 일본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그러나 최근 양극소재의 화학조성이 다원계로 매우 복잡해지면서 전구체 기술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구체 기술은 일본에 비해 90% 수준으로 취약한 실정이다.한편 음극소재의 국산화율은 현재 거의 제로 수준으로 일본과의 기술수준은 격차가 크다. 특히 음극소재 업체 및 연구소의 흑연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며, 천연흑연의 핏치 코팅 등의 표면개질기술을 일부 확보하고 있다.||■국내외 주요 기업의 생산활동리튬이차전지용 소재는 주로 일본계 업체가 생산과 공급을 거의 독점해 왔으나, 수년 전부터 한국과 중국의 소재업체의 시장점유율이 상승하고 있고, 신규로 진입하고 있는 회사가 늘고 있는 추세다. 2010년에는 삼성SDI 및 LG화학의 리튬이차전지 생산 호조로 유미코어가 32%의 점유율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이어 일본의 니치아가 24%로 2위를 점하고 있다. 양극소재 생산업체 수는 2009년 기준으로 일본 13개, 국내 5개로 열세이며 국내 업체는 LCO 및 NMC 생산에 집중돼 있으며, 일본 업체는 다양한 종류의 양극소재 기술을 확보해 생산하고 있다.또한 벨기에 회사인 유미코어를 제외하면 양극소재의 국산화율은 약 27%에 불과하며, 국내 기업 대부분은 영세 중소기업으로 R&D 역량 및 설비투자 여력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일본 음극소재업체는 2009년 기준으로 10여사에 달하며, 중국도 흑연계 음극소재를 양산하는 업체가 3~4개에 달하나, 국내는 양산업체가 전무해 국산화율이 제로로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2010년 세계 시장점유율 1, 2위는 히타치화성과 일본카본으로 변화가 없으나, 중국 BTR과 Shanshan이 각각 3, 4위를 점유했다. 특히, 중국 음극소재 기술 및 품질이 향상돼 최근 삼성SDI에서는 일본카본과 BTR이 치열한 로앤드품 싸움을 전개 중으로 알려져 있다. 음극소재의 종류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NG코어(천연흑연 베이스) 비율이 상승해 53%에 달했으며, 인조흑연계는 38%로 감소하는 추세다. 고품질의 고가품에서는 높은 기술력을 갖는 일본이, 저가품에서는 중국 업체가 가격경쟁력을 갖고 있어 국산화가 곤란한 상황이다.||■시장규모 및 전망 리튬이차전지용 전체 소재시장은 전지 시장 확대에 맞춰 2015년에는 130억달러 규모의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특히 전통적으로 가장 높은 가격비중을 차지하는 양극소재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새로이 중대형 전지에서의 사용량이 높아지는 분리막 시장이 매우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2008년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소재 시장은 전년대비 19% 증가할 것이며 LCO의 채용 비율은 전체의 2/3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 물량으로 보면 LCO는 미세한 감소가 있으며, 코발트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보상하고자, Ni-Mn-Co의 3원계 양극소재(NMC)의 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리튬이차전지용 음극소재 시장은 천연흑연 코어(NG코어)를 적용한 일본카본과 히타치화성의 저가품 매출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반면, PVDF계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는 소니는 메조페이스계 음극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그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동사는 음극소재가 제품에 따라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는 KMFC와 히타치 분말야금 제품을 사용한다. 히타치화성의 MAGE/J의 후속 제품에 필적하는 1.8g/cc의 최고 수준 전극 밀도 KMFC-GC도 폴리머 고용량품 Apelion에 본격 채용될 예정이며 원통형 셀 G9-2.8Ah, G10-3.0Ah에서도 사용될 계획이다.음극소재 Top3 제조업체인 히타치 화성·JFE·일본 카본은 3S(산요·소니·삼성SDI)의 물량 증가에 대응하면서 수량과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높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최근 친환경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Hard Carbon 및 Soft Carbon과 같은 저결정성 탄소재료가 향후 주요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분야에서도 일본 업체가 시장과 기술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예측된다.||■향후 연구개발 과제앞으로 개발돼야 할 연구과제에는 △고용량, 고안전성 양극활물질 기술 △저코스트 양극활물질 기술 △고용량, 저코스트 음극활물질 기술 △금속공기전지용 소재 기술 등이 있다.◇고용량, 고안전성 양극활물질 기술 고용량, 고안전성 양극활물질 기술 안에는 △Ni-rich계 고안정화 기술 △aqueous template-assisted 차세대 표면개질 기술 △유기양극소재와의 self-assembly를 이용한 차세대 복합화 기술 △Mn-rich계 율특성 및 사이클 특성 향상 기술 △실리케이트계 소재 제조 기술 △고전압 스피넬 양극소재 및 전해액 기술 등의 개발과제들이 있다.◇저코스트 양극활물질 기술 저코스트 양극활물질 기술 안에는 △Fe계 및 Mn계 올리빈구조 양극소재 기술 △Mn계 스피넬 양극소재 기술 △저가 원료 이용 전구체 합성기술 △저코스트 공정프로세스 기술 등의 개발과제가 있다.◇고용량, 저코스트 음극활물질 기술고용량, 저코스트 음극활물질 기술 안에는 △저가 탄소계 전구체 제조기술 △저온소성 탄소계 음극활물질 기술 △금속 및 금속산화물 팽창제어 기술 △천연흑연 표면개질 기술 △금속(산화물)-탄소 복합화 기술 △탄소 전구체의 흑연화 기술 등의 과제가 있다.◇금속공기전지용 소재 기술금속공기전지용 소재 기술 안에는 △금속공기전지용 공기전극 촉매 기술 △다공성 촉매층 전극제조 공정기술 개발 △CO2 및 수분 제어 필터링 기술 개발 △음극 금속재료 형상 설계 및 제조공정 기술 개발 △부식억제 첨가제 조성 및 전해액 조성 개발 △산화금속의 재처리 공정 기술 개발 등의 과제가 있다.||■2차전지 강국을 향한 과제◇전주기 R&D관리시스템 확립을 통한 협업개발 강화이차전지기술개발 관련 통합형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 간 수요연계형 과제, 선행연구가 필요한 과제 등을 선별, 산·학·연 협업시스템에 기반을 둔 R&D 추진으로 개발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이차전지소재에 대한 정부 정책과 민간 투자의 연계 등 산업육성을 위한 로드맵 수립과 재원 지원이 필요하다. ◇경쟁체제 도입형 R&D 시스템 추진이차전지 핵심소재와 전지시스템 개발 등 정부지원 개발과제에 대해 경쟁개발 시스템을 도입, 기술개발에 대한 동기부여와 과제 완성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R&D투자 강화이차전지용 핵심 소재기술 개발이 사업화로 연계되도록 하기 위해 원천기술 개발 시 연구능력을 보유한 출연연과 대학 등의 컨소시엄에 수요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경쟁사제품 분석(Benchmark Test), 기술타당성 평가(Technology Assessment), 소재기술개발(Full Spec. Development) 과정의 단계별 연구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내실 있는 성장을 견인할 산업기반구축이차전지 기술 발전 및 기업지원의 기초가 되는 필수적 인프라를 구축, 이차전지 기술개발을 밀착 지원하고, 출연연 및 대학의 사업 중복 등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해 기 구축된 장비의 기업지원 실적 등 역량분석을 통해 인프라 구축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인력양성 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성과제고를 위해 산·학·연 인력양성협의체 운영, 수혜기업의 출자 비율 확대, 산업체 필요 정보 제공의 효율적 지원, 전시회 개최 및 지원, 표준화 주도 등 기업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일주 기자
2012-06-14
-
LS전선, 950℃ 견디는 내화 케이블 개발
LS전선(대표 구자열)이 950℃까지 버티는 세계적 수준의 내화(耐火)케이블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내화 테이프에 사용되는 운모(雲母)의 성질을 개선하고, 유리 섬유를 첨가해 일반 내화 케이블의 한계인 750℃ 보다 200℃ 이상 내화성을 확보했다.LS전선은 해당 제품이 2시간 동안 950℃에서도 견뎌냄은 물론 소방 상황을 가정한 외부 충격, 살수 등의 환경 하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제품 성능은 국내 내화 규격보다 훨씬 엄격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International Engineering Consortium)기준, 영국공업규격(BS : British Standard), 프랑스공업규격(NF:Normes Francaises)을 모두 충족한다. 또한 이 밖에도 절연층을 실리콘으로 사용해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환경용 실리콘 내화 절연 케이블과 건물과 산업 구조물용 내화케이블 등의 개발에 성공했다.LS전선 관계자는 “이 제품들은 선박, 해양플랜트, 빌딩, 산업설비 등에서 화재 발생 시 비상용 전원, 핵심설비 가동, 소방·방재 시스템 작동을 위해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며 “국내는 물론 해외 고객들의 엄격해지고 있는 내화 요구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조선사 및 해양플랜트 업체, 건설사 등을 대상으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2-06-13
-
2012 스테인리스스틸 사용기술 심포지엄
한국철강협회 스테인리스스틸클럽은 오는 21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6층 회의실에서 2012 스테인리스스틸 사용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스텐레이스강 제품에 대한 소재개발 및 기술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요내용으로는 △상수도 환경에서 녹슬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기술개발 현황(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박영복 연구원) △스테인리스강 신제품 및 신용도 개발동향(포스코 기술연구원 원성현 박사) △건강가전 스테인레스강 개발 및 응요(LG전자 헬스케어본부 홍형기 수석연구원) △스테인리스강 용접방법 및 특성(두산 DST 김후진 명장) 등이 발표된다.
고봉길 기자
2012-06-12
-
쇼트, ‘센세이션™ 커버 AG’ 출시
이일주 기자
2012-06-12
-
LS니꼬동제련, 고순도 순금괴 출시
신근순 기자
2012-06-12
-
전기전자재료학회, 25주년 하계학술대회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회장 박대희)는 창립 25주년 기념 하계학술대회를 오는 27~29일 강원도 강릉 경포대에 위치한 리카이 샌드파인 리조트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학술연구·논문발표 △25주년 기념 학술강연 △그린 에코 절연기술 심포지엄 △산업전시박람회 △전문연구회 심포지엄 △산학친선교류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학회(02-538-7958)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전기전자재료학회는 회원으로 관련 전문가 3,800여명을 보유하고 국내외 전기전자재료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단체다.
엄태준 기자
2012-06-11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