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比 성능 10배↑나노발전기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10배 많은 전기가 생산되는 새로운 형태의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
전북대는 지난 26일 한진규 박사와 부상돈 교수(물리학과) 연구팀은 티탄산지르콘산연(PZT) 나노입자의 전왜효과를 이용해 나노제너레이터(나노발전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고 밝혔다.
걸을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신발, 마찰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옷, 흔들기만 하면 전기가 생산되는 물병까지. 이 모두는 최근 많은 연구진들이 에너지 수확분야에서 ‘발전기’의 개발을 통해 실제 생활에 접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연구 분야다.
그러나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기량이 워낙 극소량이어서 실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기 위해서는 획기적으로 높은 발전 성능을 가진 나노제너레이터를 구현하는 것이 최대 과제였다.
한진규 박사와 부상돈 교수(물리학과) 연구팀은 티탄산지르콘산연(PZT) 나노입자의 전왜효과를 이용해 나노제너레이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진은 카본나노튜브(CNT) 표면에 직접 성장된 티탄산지르콘산연(PZT) 나노 입자 복합체를 용액공정으로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해 두 물질이 단순히 혼합돼 있는 복합체에 비해 약 10배 정도 향상된 나노제너레이터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효율 나노제너레이터는 그간 연구들에서 한 단계 더 앞서 나간 것으로써 CNT 위에 압전체 물질의 직접 성장을 통해 두 물질 사이에 결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압전체 내부에 응력구배 (strain gradient) 의 형성에 의해 전왜효과가 발생, 전기 발생 효율을 향상 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이 제작한 PZT/CNT 입자는 CNT 표면에 PZT 결정이 화학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기존에 개발된 단순 복합체에 비해 훨씬 높은 발전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번에 개발한 PZT/CNT 입자를 이용한 나노제너레이터는 전왜효과를 적용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부상돈 교수는 “이번 결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PZT 나노입자의 발전 특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써의 나노제너레이터 상용화 가능성을 한층 더 높여주는 중요한 연구결과”라며 “추후 진전된 연구를 통해 전기 발생이 가능한 웨어러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화석 연료 고갈에 따른 에너지원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 저널인 네이처의 자매지 중 하나인 ‘사이언티픽 레포트 (Scientific Reports)’ 최신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편집국 기자
2016-07-28
-
다나까귀금속, 플렉시블 터치패널 선
다나까 귀금속이 은나노 잉크로 필름 상에 초미세 메탈 메쉬형을 인쇄해 플렉시블 터치패널 시장에 제공한다.
다나까 귀금속그룹의 제조사업을 전개하는 다나까 귀금속공업(주)가 일본의 여러 기술연구소와 협업하여 은나노 잉크를 이용한 0.8μm(마이크로미터는 1,000분의 1mm)의 미세 배선으로 투명한 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를 실현해 터치패널 센서용 가공 도전성 필름을 제품화하며 2017년 1윌부터 샘플 제공에 나선다고 밝혔다.
터치패널 센서 등에 사용되는 기판에의 전자회로 인쇄는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디스플레이 다양화에 따라 플렉시블한 기판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때 인쇄 가능한 메탈 메시 배선이 가장 낮은 저항값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많이 되었지만 메탈 부분이 빛을 거의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자회로 패턴의 선 폭을 눈에 보이지 않는 수 μm 단위로 미세가공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번에는 투과성이 높고 저항값이 낮은 회로 인쇄에 가장 적합한 소재인 은나노 잉크를 이용하여 미세 메쉬 패턴에 의한 도전성 필름을 실현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 폭넓은 용도에 대한 가능성을 넓혔다.
신 플렉시블 기판은 인쇄 기술 SuPR-NaP법(Surface Photo-Reactive Nanometal Printing)을 통해 통상의 기온·기압 아래서 작업이 가능하며 기존에 필요했던 ITO나 금속막 에칭 설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생산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정밀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회사측은 “대형·중형뿐만 아니라 소형 터치패널 센서에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센서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의 확대에 기여한다. 그 중에서도 PET필름 등에 인쇄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웨어러블 제품에의 응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본 제품은 도쿄대학이나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 연구센터 및 야마가타대학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미 8인치(20.32센티미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Nature Magazine에도 게재됐다. SEMICON WEST에서는 본 제품을 중심으로 귀금속을 활용한 여러 가지 테크놀러지를 전시했다.
또한 본 기술은 JST(국립연구개발법인 과학기술진흥기구)가 추진하는 NexTEP(산학 공동 실용화 개발사업)의 개발 과제로 채택됐다.
편집국 기자
2016-07-28
-
2016년 2Q 실리콘 웨이퍼 출하 27억600만in²
배종인 기자
2016-07-27
-
6월 북미반도체 장비산업 BB율 1.00
편집국 기자
2016-07-26
-
현대重, 2만3천톤급 군수지원함 수주
현대중공업이 뉴질랜드 해군으로부터 30년 만에 군수지원함을 수주했다.
현대중공업은 25일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김정환 조선 사업대표와 헬렌 퀼터(Helene Quilter) 뉴질랜드 국방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뉴질랜드 해군과 배수량 2만3천톤급의 군수지원함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군수지원함은 지난 1987년 뉴질랜드 해군에 인도한 1만2천톤급 군수지원함인 ‘엔데버(Endeavor)’호의 후속 함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6월 입찰에 참여해 독일, 스페인 등의 방산전문 조선소와 경합을 펼친 끝에 지난해 12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 이후 약 7개월간의 계약조건 협상 등을 거쳐 최종 계약에 성공했다.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군수지원함은 길이 166미터, 최고 속력 17노트(31.4km/h)로, 1만톤의 보급 유류와 20피트(feet) 컨테이너 12개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운항속력에 따라 전기 추진과 디젤기관 추진을 선택적으로 사용해 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추진 체계와 양현(兩舷)에서 동시에 급유가 가능한 전기식 해상 보급·연료공급 체계, 25톤 크레인 등이 탑재된다.
특히, 이 군수지원함은 남극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빙(耐氷) 방한 성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2018년 2월 이 함정을 착공해 2019년 12월 뉴질랜드 해군에 인도할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16-07-26
-
건품연, 신뢰성 워크숍 기업 경쟁력↑
편집국 기자
2016-07-22
-
여러손가락 동시인식…투명 3D 터치센서 개발
편집국 기자
2016-07-21
-
마이크로칩, 차세대 듀얼 모드 블루투스 오디오 제품군 출시
배종인 기자
2016-07-20
-
현대重, 인공태양 핵심부품 1억160만불 수주
편집국 기자
2016-07-20
-
탄소섬유 난방용 전열관 ‘테카본’, Q마크 획득
편집국 기자
2016-07-19
-
디엔알엔지니어링, ‘아이라이트’로 운전자 눈 보호
배종인 기자
2016-07-18
-
LG이노텍 車 부품, GM ‘품질 우수상’ 수상
LG이노텍이 글로벌 자동차 회사로부터 차량부품 품질을 공식 인정받았다.
LG이노텍(대표 박종석)은 18일 재너럴 모터스(GM) 로부터 ‘품질 우수상(2015 GM Supplier Quality Excellence Awar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품질 우수상’은 GM이 매년 품질 결함 ‘제로’ 수준의 엄격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킨 GM 협력사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이는 ‘완벽 품질’을 구현했다는 의미다.
LG이노텍은 2010년부터 GM에 전기차용 배터리의 충전상태, 효율, 수명을 관리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BMS)을 공급하고 있다.
LG이노텍 차량부품사업은 안정된 품질을 바탕으로 이 분야에서만 지난해 6,496억 원 매출을 기록, 전년 대비 22% 성장했다. 제품 라인업은 차량 주행 안전성 및 운전자 편의성을 높이는 모터, 센서, 카메라모듈, 무선통신모듈, 무선충전모듈, 터치패널, LED 등과 전기차 부품인 BMS, DC-DC컨버터 등 20여 종에 이른다.
LG이노텍은 이번 ‘GM 품질 우수상’ 수상으로 차량부품사업 확대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고객 요구 수준 이상의 품질을 입증함으로써 향후 예상되는 신규 수주 활동에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차량부품은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기에 제품 품질이 최우선시 된다. 또, 한번 채택되면 10년 이상 장기간 공급되는 만큼 개발 단계부터 출하까지 품질 통과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엄격하다. 그만큼 진입 장벽이 높다. 자동차 회사도 양산 품질이 제대로 검증된 업체를 선호한다.
금종구 차량마케팅담당(상무)은 “혁신 기술과 완벽한 품질로 고객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즐거운 드라이빙을 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핵심 부품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편집국 기자
2016-07-18
-
LG LIB, NASA 우주복에 쓰인다
편집국 기자
2016-07-18
-
NI, 2세대 벡터 신호 VST 출시
배종인 기자
2016-07-15
-
KIST-LETI, 차세대반도체 연구협력 MOU
편집국 기자
2016-07-13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