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명 D/P 출원 활발
태양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유리창, 백화점 매장의 투명 쇼윈도 등에 적용되며 각광받고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관련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허청(청장 이수원)이 최근 5년간 투명 디스플레이 관련 출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6년 47건, 2007년 109건, 2008년 110건, 2009년 147건, 2010년 142건으로 집계됐다.출원인별로는 엘지디스플레이(57건), 삼성전자(53건),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38건), 삼성SDI(28건), 삼성전기(20건), 한국전자통신연구원(17건) 순으로 나타났다. 디스플레이 강국답게 국내 기업 및 연구소 출원이 전체 출원의 88%인 495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학내 산학협력단 출원이 42건으로 산학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출원기술을 보면, 화면을 표시하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 관련 출원이 280건(50.5%),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투명 도전재료 관련 출원이 275건(49.5%)으로 나타났다.투명 디스플레이는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로 대체하면서 가능해졌다. KAIST는 아연산화물을 산화티타늄으로 변경해 광 투과율을 90%까지 높혔다. 최근, 국내 대학이 전기적 특성과 광 투과도가 우수한 그래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는 등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투명 도전재료 출원은 탄소나노튜브(111건), 전도성 고분자(99건), 도전성 산화물(51건)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에 노벨상을 안겨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출원이 14건을 기록했다. 최근 성균관대학은 그래핀을 이용해 광 투과도를 약 90%로 높인 투명 도전재료를 개발한바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특징인 투명성을 이용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투명 인테리어 디자인 등 산업 전반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면서 “디스플레이 시장의 블루오션인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특허청 관계자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특징인 투명성을 이용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투명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 표면에 부착되어 다양한 연출로 제품의 가치를 높인 투명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제품 등 산업 전반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면서 “디스플레이 시장의 블루오션인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한편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된 뒤 2025년에는 95조원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3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해 ‘6대 미래산업 선도기술’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5~7년 동안 1조5,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엄태준 기자
2011-05-27
-
한국지엠, 부품社 해외시장 진출 지원
신근순 기자
2011-05-27
-
MDS테크놀로지, 車 SW 개발자 컨퍼런스
엄태준 기자
2011-05-27
-
산업은행, 센트랄모텍 복합금융 600억 지원
신근순 기자
2011-05-27
-
광주시, ‘생체부품소재 산업’ 본격 시동
신근순 기자
2011-05-27
-
한국이토, 보일러 ‘비례제어밸브’ 국산화
김성준 기자
2011-05-24
-
LS산전, 그린카 부품 양산체제 구축
신근순 기자
2011-05-23
-
SG&G, 車 부품 메이커 변신
김성준 기자
2011-05-21
-
LG전자 정백영 연구위원, 은탑훈장 수상
LG전자(대표 구본준) 정백영 연구위원이 은탑산업훈장 수상자로 선정됐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특허청이 주최하고 한국발명진흥회가 주관하는 ‘제 46회 발명의 날 기념 행사’ 시상식이 열렸다.
LG전자는 지난해 발명의 날 기념행사에서 이승준 수석연구원이 ‘발명대왕’으로 선정되는 등 2년 연속 연구개발분야 수상자를 배출하게 됐다.
정 연구위원은 국내 최초로 △고효율 빌딩용 멀티 시스템 에어컨 개발 △냉난방 동시형 멀티 시스템 에어컨 개발 등 시스템 에어컨의 국제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 연구위원은 열교환기, 팬, 압축기 등 시스템 에어컨 부품 기술개발로 수입에만 의존해왔던 시스템에어컨용 핵심부품을 빠르게 국산화시켰고, 이를 토대로 지난해 7,500억원에 이르는 수입대체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LG전자는 정 연구위원이 개발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토대로 고효율 시스템 에어컨인 ‘멀티브이(Multi-V)’ 시리즈를 출시해 총 4,400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특히 ‘멀티브이’ 시리즈는 정 연구위원의 에너지 저감기술로 △2007년 대한민국 기술대상 은상 △2009년 에너지 위너상 대상 및 지식경제부 장관상 △2010 에너지 위너상 대상 및 환경부 장관상 등을 수상했다.
정 연구위원은 1990년 LG전자에 입사해 20년간 에어컨 연구개발만을 담당해온 핵심 연구인력이다.
정 연구위원은 지난해 처음 배출된 5명의 LG전자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헌정멤버 중 하나로 선정될 정도로 공로를 인정받은 바 있다.
박선주 기자
2011-05-21
-
아바고테크놀러지스
고봉길 기자
2011-05-21
-
삼성엔지니어링, 신사옥 상량식
박선주 기자
2011-05-19
-
브로제·세미크론, 송도 온다
박선주 기자
2011-05-19
-
KEIT-중기진흥公, 첫걸음 부품소재R&D 협력
신근순 기자
2011-05-17
-
‘2011 국제부품소재산업전’ D-8
신근순 기자
2011-05-17
-
TV용 패널 가격 반등 전망
신근순 기자
201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