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국제강, 조선용 ‘60mm 반환봉’ 개발
이일주 기자
2012-10-24
-
열처리공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이일주 기자
2012-10-24
-
전문가들 힘모아 고효율 PV 기술 개발
엄태준 기자
2012-10-24
-
포스코켐텍 3Q 매출 3,197억…전기 比 2.2% ↓
이일주 기자
2012-10-23
-
세라믹院-다이텍硏, 세라믹·섬유소재 개발 맞손
신근순 기자
2012-10-23
-
철강協, ‘철강·비철업종 중견기업 간담회’ 개최
배종인 기자
2012-10-23
-
유영기 (주)케이이앤피 포항2공장장
신근순 기자
2012-10-23
-
포스에코하우징, 스틸하우스 자재 수출 ‘쾌거’
배종인 기자
2012-10-23
-
케이이앤피, 티타늄 튜브제조공급社…‘제2 도약’
신근순 기자
2012-10-23
-
전남, 소재부품 기업 유치 잇따라
전라남도가 중소 소재부품기업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전라남도(도지사 박준영)가 지난 18일 도청 서재필실에서 박준영 도지사와 매그나텍, 광성기업 등 6개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388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주)매그나텍(대표이사 박준표)은 장성 동화면 4,000㎡ 부지에 35억원을 투자해 LED조명·자동제어반 등을 생산키로 했다.
이 회사는 에너지절감 전문기업으로 LED고용량 투광등, 차량용 LED조명 등을 제조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을 위한 차량용 무시동 냉난방기와 태풍 및 지진에 강한 방진형 가로등을 연구 개발 중이다.
광성기업(주)(대표이사 성필호)은 장성 동화면 1만㎡ 부지에 32억원을 투자해 자동차 차체용 부품을 제조한다.
충남 당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중국과 울산, 시흥시 등에 자회사를 두고 있는 중견회사로 현대·기아자동차 공장에 자동차 부품(에어닥트)을 납품하고 있다.
이밖에 메타폴라아로마(주)(대표이사 권오역)는 신안 비금면 8,000㎡ 부지에 75억원을 투자해 천일염 가공시설을 운영한다. 식용소금뿐만 아니라 천일염 소재의 천연입욕제, 목욕용 화장품 및 화장수, 음료, 축산위생·탈취제 등을 제조하며 미국·캐나다·유럽 등지로 수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준영 도지사는 “소재부품산업과 식품산업은 전남의 여건에 부합하고 꼭 필요한 분야인 만큼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품질경쟁력을 갖춰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배종인 기자
2012-10-19
-
‘울산 융합신소재 연구센터’ 설립
고봉길 기자
2012-10-19
-
차세대 D/P용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신근순 기자
2012-10-19
-
LIB 용량 2배 늘린 新 양극소재 개발
배종인 기자
2012-10-19
-
금재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대한금속재료학회(KIM, 회장 신동혁)가 오는 25~26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2012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총 940여편의 논문이 발표되며 KIM-JIM(일본금속학회) 심포지엄을 포함해 마그네슘 WPM, 접합조직, 타이타늄, 형상기억함금, 금속 피로 및 파괴 등 13개 주제별 심포지엄이 개설됐다.
또한 젊은 신진과학자 초청강연 발표, 산학연 교류활성화를 위한 인력채용 및 기업체 홍보 부스 등 다채로운 행사가 마련돼 있어 국내 금속재료 연구계 내 활발한 정보 교환의 장이 될 전망이다.
행사에 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kim.or.kr) 또는 전화(02-557-1090)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2-10-19
-
KIST, ‘찾아가는 나노트럭’ 시동
기자
2012-10-18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7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8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