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 美 싱크탱크에 韓 연구 프로그램 개설
현대자동차가 미국 유력 싱크탱크에 한국 전문 연구 프로그램 마련해 정치 경제 외교 등 폭넓은 학술 연구를 지원한다.
현대차는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과 함께 10일 미국 워싱턴 소재 우드로 윌슨 센터(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에서 ‘현대차-KF 한국역사 및 공공정책 연구센터(Hyundai Motor-KF Center for Korean History and Public Policy)’를 설립하기 위해 우드로 윌슨 센터와 공식 후원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에드 로이스(Ed Royce) 미국 하원 외교 위원장, 제인 하먼(Jane Harman) 우드로 윌슨 센터 소장, 안호영 주미한국대사 및 이광국 현대차 워싱턴사무소장, KF 유현석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우드로 윌슨 센터는 1968년 미국 연방의회가 설립한 공공정책 연구기관으로 외교·안보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다. 지난해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에 의해 미국 내 5위, 전 세계 10위 싱크탱크로 선정된 바 있다.
우드로 윌슨 센터 이사회는 토마스 나이즈(Thomas Nides) 전 국무부 부장관, 존 케리(John Kerry) 국무부 장관, 안 던컨 (Arne Duncan) 교육부 장관, 실비아 버웰(Sylvia Mathews Burwell) 보건부 장관 등 정·재계 유력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
현대차와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각각 200만달러와 100만달러씩 모두 300만달러를 지원해 우드로 윌슨 센터 내에 한국 전문 연구 프로그램을 최초로 개설했다.
우드로 윌슨 센터는 이번 후원으로 센터 내의 다양한 부서와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협력을 통해 한국 관련 주요 현안 및 이슈에 관한 정책 연구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우드로 윌슨 센터의 한국 전문 연구 프로그램에는 한국 전담 연구 인력이 참여하며 △워싱턴 현지의 한국 관련 연례 심포지엄 개최 △한국의 저명한 학자 및 전문가 초빙, 한국 역사 및 공공정책 연구 펠로우십 운영 △무역, 비즈니스, 정치 등 한-미 관계 연구 회의체 운영 △미국 고등학생, 대학생을 위한 한국 근대사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도 이뤄질 예정이다.
우드로 윌슨 센터는 또한 올해 워싱턴 및 서울에서 △한-미-일 관계 및 경제, 무역 관련 포럼 △한반도 분단 70년사 재조명 세미나 △한국사 및 현안 연계 정책 포럼 △한국 근대사 및 한-미 관계 학술 행사 등 다양한 세미나와 포럼도 개최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후원을 통해 미국 오피니언 리더들을 중심으로 한국 및 한국 기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더욱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배종인 기자
2015-06-12
-
인사이드 3D프린팅, 6월24일 개막
신근순 기자
2015-06-12
-
정몽구 회장, 中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 면담
배종인 기자
2015-06-12
-
3D프린팅 재난구조 드론, 국회 하늘 난다
신근순 기자
2015-06-11
-
한국선급, NCS 조선분야 新자격 설계 완료
신근순 기자
2015-06-11
-
뿌리산업 특화단지 17개로 확대
뿌리기업 집적화를 통한 비용절감 및 첨단화를 위해 추진 중인 뿌리산업 특화단지가 총 17개로 확대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뿌리산업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뿌리기업 집적지 중 단지의 고도화·협동화 계획 등이 우수한 △경기도 부천 몰드밸리 △시흥 도금산업클러스터단지 △광주시 금형특화단지 △군산 뿌리산업특화단지 △완주 뿌리산업특화단지 등 5개 단지를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추가 지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13년부터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사업’을 시행중으로 올해 5개가 추가 지정되면서 전국 뿌리산업 특화단지는 총 17개(경기·인천 7개, 영남 5개, 호남 5개)로 늘어났다.
올해 지정된 5개 특화단지 내 입주업체 수는 총 212개사이며, 금형 특화단지 2개, 표면처리 특화단지 1개, 금형·소성가공·용접 특화단지 1개, 금형·용접 특화단지 1개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5개 특화단지들이 시흥·광주·김제의 뿌리기술지원센터와 인접하여 수월하게 애로기술을 지원받게 되어서, 특화단지 내 입주 뿌리기업들의 기술경쟁력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부천 몰드밸리의 경우 금형기업간 스마트 금형복합물류시설 구축 등 물류개선을 통한 단지활성화 및 기술경쟁력 향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는 17개 특화단지를 대상으로 4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하반기 중 환경오염 저감시설, 에너지 절감시설, 공동물류시설 등 단지 내 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구축을 지원한다. 신청기간은 6월15일부터 7월16일까지로 신청을 희망하는 특화단지 입주기업 협의체는 시·도 지자체를 통해 산업부에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
김용래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그간 공동활용시설 구축지원사업을 통해 안산 도금협동화단지는 열병합 스팀에너지 공동활용시설을 구축해 에너지비용을 47% 절감하는 등 큰 효과를 거뒀다”며 “올해부터 특화단지내 공동활용시설 지원사업의 정부지원비율이 10%에서 30%로 상향 조정된 만큼, 특화단지 및 지자체에서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신근순 기자
2015-06-11
-
나노소자 대량생산 길 열렸다
신근순 기자
2015-06-11
-
메이커봇, 亞太 지역본부 설립
세계적인 3D프린팅 솔루션기업 스프라타시스의 자회사 메이커봇(MakerBot)이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MakerBot APJ)를 구축하고 지역내 영업 강화에 나선다.
아태지역 및 일본을 총괄하는 본부는 홍콩에 위치하게 되며 지역내 구축된 △서울 △부산 △상해 △북경 △선전 △도쿄 △오사카 △싱가포르 △방갈로르 등 스트라타시스의 10개 지사를 통해 메이커봇의 마케팅, 세일즈, 고객지원 분야에 걸친 전반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데스크탑 3D 프린터 및 스캐너의 잠재수요를 확보하고 가능한 제품 영역을 확대하며 메이커봇의 기존 유통 및 리셀러 파트너 네트워크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조나단자글럼(Jonathan Jaglom) 메이커봇 CEO는 “아시아 지역은 메이커봇의 전략적산업 부문인 교육, 엔지니어링, 디자인 등에 큰 기회의 시장일 뿐만아니라 데스크탑 3D 프린팅산업에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메이커봇의 아태지역본부 설립으로 데스크탑 3D프린터를 전세계적으로 도입하고, 스트라타시스와의 협력을 통해 사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메이커봇 아태지역본부총괄로 임명된 쉬리사(Shiry Saar)는 “아태지역에 메이커봇의 3D프린터를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며, “메이커봇과 스트라타시스는 양사의 종합적인 제품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교육 및 전문분야 산업군의 고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009년에 설립된 메이커봇은 디자이너, 교육자, 엔지니어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3D프린터 장비 및 소재를 공급하면서, 이들이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메이커봇 PrintShop™, Mobile, 3D프린팅 커뮤니티인 Thingiverse 등을 지원하고 있다.
신근순 기자
2015-06-11
-
기아차, 멕시코 新시장 공략 본격화
배종인 기자
2015-06-10
-
김기영 한국엘리베이터협회 회장 장녀 결혼식
한국엘리베이터협회 김기영 회장의 장녀 소영 양이 결혼합니다. 축하드립니다.
일시 : 2015년 6월13일 토요일 12:00
장소 : 베르아델승마클럽 골든돔
연락처 : 032-882-2255
편집국 기자
2015-06-10
-
산기평, 한·미 로봇연구 협력
배종인 기자
2015-06-09
-
아트라스콥코-한국쉘석유, 파트너십 체결
강지혜 기자
2015-06-08
-
로봇산업진흥원, 2015 통합 워크숍
강지혜 기자
2015-06-08
-
5월 車 수출액 37억4천만불…전년比 8%↓
신근순 기자
2015-06-05
-
기아차, 봉사활동에 임직원 1천명 참여
배종인 기자
2015-06-05
- 많이 본 뉴스
-
-
1
“韓 AI 투자 中 1/3 불과, AI 강국 4년 골든 타임”
-
2
2024년 철강 31社 경영실적
-
3
1~3월 전기車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39%↑
-
4
LG화학, 제철소 CO2 포집 CO·H2 전환 추진
-
5
1~3월 글로벌 전기車 인도량, 전년比 35%↑
-
6
제이앤티씨, TGV 유리기판 신사업 본격 추진
-
7
한화방산 3社, 중남미 방산 新시장 개척
-
8
탄소산업진흥원, “기관장 업추비 4800만원 사실 아냐, 공시 단위 입력 오류”
-
9
국토부, ’28년 상용화 수소열차 실증 착수
-
10
화학연, 수중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